-
-
그림 읽어주는 여자 ㅣ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라는 소설이 있다.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사랑이야기이지만 문맹이라는 개인적 한계가 한 여인에게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으로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차분하게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다. 열다섯 살 소년 미하엘과 서른 여섯 살 여인 한나의 사랑이야기, 나치 전범, 교도소에서의 재회 등 모두 3부로 구성된 소설은 독자들에게 꽤 많은 고민거리를 안겨주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행위가 바로 책을 읽어주는 것이다.
<책 읽어주는 남자>에서 책을 읽어주는 행위는 미하엘과 한나 두 사람의 사랑을 이어주는 매개체이다. 자신의 육체에 탐닉하는 미하엘에게 한나는 책을 읽어주는 일종의 의식을 요청했고, 미하엘은 한나의 육체가 그리울 때마다 책을 읽어주어야 했다. 한나가 아무런 설명없이 자취를 감춘 뒤부터 끊겼던 책 읽어주기는 한나가 나치 전범으로 교도소에 갇히고 어느 정도의 세월이 흐른 뒤 재개된다. 인사말조차 없이 테이프에 책 내용만을 녹음해 보내는 미하엘과 이제는 글을 읽을 수 있게 되었음에도 미하엘의 음성을 통해 책을 읽는 한나...
한젬마의 책을 처음 접했을 때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이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오는 한나였다. 문맹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못하고 미하엘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부탁하는 한나. 나치의 수용소 보호 감시원으로 있을 때에도 수용소의 소녀들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했던 한나는 책을 듣는 행위를 통해 책과 이야기에 대한 갈증을 채워나갈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책을 들음으로써 단순하게 판단하고 단정짓던 태도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내용을 조망할 수 있게 된다.
한젬마의 책을 통해 어쩌면 그런 한나의 변모를 기대했는지도 모르겠다. 재학 시절 익힌 지식은 어느새 사라져 '화맹'이라고 해도 상관없을 만큼 그림에 관해 알고 있는 건 거의 없는데, 한젬마의 책이 그림을 알게 해주는 계기를 제공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마 책의 제목이 '그림 읽어주는 여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무언가를 읽어준다는 건 듣고 있는 사람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된다는 하나의 전제를 깔고 있어야 하는 것이고, 그런 점에서 <그림 읽어주는 여자>라는 제목의 책을 통해서 사람들은 그림에 대한 최소한의 지식 내지 이해력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도 아니면 서양화를 전공하는 화가로서 어떻게 그림을 보는지 그 속내라도 한번 들여다보고 싶다는 생각에 책을 선택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책을 덮고 난 지금 한나의 변모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젬마가 이야기하는 그림은 이전의 다른 글들에 비해 확실히 가볍고 재미있게 다가온다.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미술사나 작가적 경향에 대한 이야기는 뒤로 젖혀두고 그림이 주는 느낌과 개인적인 경험담을 이야기하고 있는 그의 글들은 충분히 재미있게 읽히고, 서먹하게만 다가오던 그림들이 정겹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왜일까.
그건 그녀가 그림이나 작가의 이야기보다 그녀 개인적인 이야기에 더 비중을 싣고 있어서일 것이다. <책 읽어주는 남자>의 미하엘이 듣는 사람인 한나를 최대한 배려해서 입으로 읽고 귀로 듣기에 좋은 책을 선택해서, 그의 감정이 드러나 듣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려해서 읽는 것과는 다르게 말이다. 무언가를 읽어준다는 건 이렇듯 듣는 사람을 배려해주는 구석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 그런데 한젬마의 글에선 그녀의 모습만 보일 뿐이다. 그림을 읽어준다고 하지만 정작 읽어주는 건 '그림'이 아니라 그 그림을 읽고 있는 그녀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그보다 더 돋보이는 건 그녀의 미모와 학벌... 차라리 그림 읽어주는 여자가 아닌 다른 제목이었더라면 하는 생각이다. 그랬더라면 그림과 대중들의 거리를 좀더 가깝게 하고 싶어하는 화가로서, 미술 프로그램의 MC로서 들려주는 이야기에 좀더 마음을 열지 않았을까. 그녀의 이야기를 훨씬 재미있게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한나에게 책을 읽어주던 미하엘처럼 그렇게 그림을 읽어주는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