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생태보고서 - 먹고, 싸우고, 사랑하는 일에 관한 동물학적 관찰기
한나 홈스 지음, 박종성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류가 쌓아온 지식과 학문적 성과는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일지도 모른다. 존재론적 측면에서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는 형이상학적 질문부터 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간존재에 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우리 자신에 대한 고민은 계속될 것이다. 그것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고 무엇보다도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도전이며 현실적인 문제 해결의 출발이다.

  낯선 세상을 경험하고 싶다면 여행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세계관을 바꿔야 한다. 세상은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서 촉발된 인간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과학적으로 종결된 상태지만 종교적 관점에서는 21세기에도 여전한 논란거리이다. 과학적 사고와 증명과정을 거쳐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신의 영역으로 처리하면 얼마나 완벽한가.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안일하게 사유하는 동물이 아니다. 인간의 기원에 대한 수많은 논란거리에 대해 접근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철학과 종교는 물론 심리학, 생물학 등이 그것이다. 과학적 접근방식이 우리에게 항상 정답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익숙한 것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데즈먼드 모리스의 『털 없는 원숭이』를 통해 우리가 받았던 충격은 외면하고 싶었던 인간의 진실 때문이었다. 동물학적 관점에서 별로 진화한 것도 없이 고도로 발달된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서 살고 있는 인간에 대해 생각해보자. ‘털 없는 원숭이’에 불과한 인간은 얼마나 나약하고 보잘 것 없는 존재인가.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하기 위해서는 ‘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결국 인간은 끊임없이 뇌를 발달시켜 ‘도구의 사용’에 목숨을 건 종족이기 때문이다. 뇌가 발달하지 않았다면, 도구가 없었다면 지구는 지금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을 것이다.

  과학저술화의 대중화는 아카데미즘에 매몰된 학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저널리스트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빌 브라이슨의 명저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비롯해서 한나 홈스의 『인간생태보고서』가 그렇다.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지루할 정도의 상세한 설명과 객관적 데이터에 의한 분석은 또 하나의 진지한 인류학 보고서를 탄생시켰다. 얼만큼 주목과 호응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또 하나의 기념비적 ‘인간 사용설명서’가 탄생했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대상을 선택했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다. 자신의 몸과 행동 그리고 삶의 궤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면서 인간에 대한 진지한 생태보고서를 펴낸 것이다. 최근 들어 진화심리학이 주목받았던 것도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이 책이 주목받아 마땅하다. 풍부한 실증사례와 인간과 동물의 비교, 섬세한 관찰로 인해 독자들은 다른 동물이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된다.

  저자는 인간의 모습을 세밀하게 관찰하며 객관적으로 통찰하고 새롭게 해석한다. 특히, 인류가 쌓아온 지적 유산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이 뼈아프게 들린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인간이라는 종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하며 현재 우리의 삶을 성찰하는 자세가 독자의 공감을 얻고 우리 모두의 반성을 촉구한다.

  인간은 두 종류가 있다. 남자와 여자. 여성인 화자이자 저자의 입장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인간과 원숭이의 차이만큼 흥미있는 주제이다. 그래서 이 책 곳곳에는 두 종류의 인간에 대한 비교가 재미있게 기록되어 있다. 물론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서.

지금껏 기록된 1,154개의 문화권 중에서 오직 100여 개만이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짝을 맺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모든 문화권들, 이슬람이나 모르몬교도들도 이에 포함되겠지만 이런 쪽에선 일부다처나 일처다부를 눈감아주고 있다. 비록 직접 실행에 옮기는 사람은 극소수라고 해도 말이다. 요컨대 결론은 다수의 문화권에서 다중 짝짓기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고로, 호모 사피엔스는 일부일처 동물이라고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 P. 294

  영원히 결론이 나지 않을 수도 있고 비교할 수도 없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 우리는 그 커다란 간격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자문해 보자. 여성은 남성을 이해하고 있는지 남성은 여성을 이해하고 있는지. 아니 그보다 우선 서로를 이해할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인류학적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단순히 유전적, 생물학적 차이뿐만 아니라 인류가 살아온 삶의 과정의 차이만큼 분명한 생태학적 차이에서 기인한다. 인간을 이해하는 일은 어쩌면 서로 다른 이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에서 시작되는 아닐까 싶다.

  그러나 다른 동물과 지구 환경의 측면에서 인간의 행동과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충격적이다. 저자는 이러한 인간의 습성과 욕망에 대한 경고를 잊지 않고 있다. 다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우리들 자신의 적나라한 생태학적 보고서를 통해 현재를 통찰하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일 것이다. 그래도 아직은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라고 믿고 싶다.

불과 수천 년, 진화 과정에서 보면 찰나에 불과한 시간 동안 행동 습성을 완전히 바꾸고 그럼으로써 지구에 강력한 충격을 가한 종은 인간 동물이 유일하다. 이제 지구상의 모든 동물들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중에서도 인간 동물이 받는 압박이 가장 크다. - P. 535

더욱 중요한 것은, 인간만이 자신의 본능과 싸울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행성의 다른 거주자들을 위해 스스로를 기꺼이 희생하는 태도는 우리가 가진 가장 비범한 자질이다. 이는 우리의 미래에 희망이 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 P. 538



100527-04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ti 2010-05-28 0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행성의 다른 거주자들을 위해서 스스로를 기꺼이 희생하는 태도...를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sceptic 2010-05-30 21:15   좋아요 0 | URL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를 저자는 이타적 행동에서 찾고 그것을 '희망'이라고 부릅니다.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저는 저자의 관점에 동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