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 원인을 파헤친다!
박은봉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익점은 정말 붓두껍 속에 목화씨를 숨겨왔을까? 행주산성에서 행주치마를 사용했나? ‘현모양처’는 전통적인 여인상일까? 광화문 앞 해태는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기 위해 세워졌나? 베트남 파병은 미국의 요구 때문이었나?

  우리는 얼마나 부정확한 사실들을 상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모른다. 사람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믿음은 상식이 되고 곧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 된다. 그렇게 잘못 전해지는 한국사에 대한 사실들을 확인하고 바로잡는 일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 박은봉의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는 이러한 사실들에 대해 하나하나 그 진실을 밝히고 있는 책이다.

  마흔 네 가지 상식들에 대해 역사적인 근거와 원인을 분석하고 어떻게 잘못 전해지고 있는지 그 유래를 밝히고 있다. 크데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어원, 인물, 유물 ․ 유적, 책․ 문헌 ․ 사진, 정치․사회 ․생활에 관한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고 있는 책이다. 하나의 작은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관련 사료와 사진을 첨부했고 관련된 책을 소개하고 있다.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으며 ‘사료 속으로’를 간단하게 정리해서 관련 사료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세세한 부분까지 편집과 구성 면에서 신경을 많이 쓴 책이다.

  책의 내용 또한 구성이나 편집만큼 꼼꼼해서 누구나 읽을 만하다. 역사적 사실들을 쉽게 풀어쓰고 있는 것은 대중 역사서의 기본이다. 이 책도 물론 이 기본에 충실하다. 흥미있게 다가갈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누구나 알고 있는 것들이 사실은 ‘잘못된 상식’이다. 그것을 확인하는 독자들은 쉽게 공감할 수 있고 명확한 근거를 통해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이 책은 누구나 흥미를 가질 만한 재밌는 역사서로 손색이 없다. 이렇게 책을 즐기면서 재밌게 읽을 수 있다면 책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도 더 없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조선이 패망한 것은 시민혁명을 통해서가 아니라 외세에 의해서이다. 뼈아픈 과거를 통해 우리가 교훈을 얻었다면 그 이전에 역사는 바뀌었을 것이다. 역사를 통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는 어리석은 인간을 위해 역사는 항상 냉정하게 충고하고 엄숙하게 경고한다. 그것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항상 인간뿐이다. 이 책은 이런 사실들을 왜곡하거나 주관적으로 해석한 오류들에 대한 변명이다. 명확하게 잘못 전해진 상식들이 어디에서 비롯됐는지 확인되는 것도 있고 소문처럼 흘러와 사실처럼 굳어진 것도 있다. 어쨌든 근거 없는 낭설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은 다른 상식에 대해서도 비판적 관점을 갖게 한다.

  고려장, 현모양처, 바보 온달, 홍길동, 첨성대, 운현궁, 명성황후, 담배, 처가살이 등 우리가 제대로 알고 있는 사실이 무엇일까 싶을 정도로 오해하고 편견을 가진 일들이 도처에 널려있다. 몇 가지 사례로 분류할 수 없지만 일제 식민지 지배 체제를 거치면서 35년간 왜곡된 역사를 통해 우리에게 세뇌된 사실들이 많고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강화시키기 위한 국민 홍보, 계몽용 전시성 역사도 많았다.

  시민혁명을 거쳐 근대화를 이루고 부국강병의 길을 걸었다면 있을 수도 없는 코미디같은 일들이 벌어졌던 것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아직도 이런 사실들이 확고한 믿음으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사소한 역사적 사실 하나를 제대로 안다고 해서 현실이 순식간에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소한 실수와 잘못 전해진 사실들은 편견이 되고 왜곡된 역사로 굳어져 모두의 생각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그런 면에서 사실을 바로잡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흥미 위주의 대중 역사서가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사실들을 확인하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 현실을 바라보는 관점 하나를 마련할 수 있다면 좋겠다. 책이 현실을 바꿔주지는 않는다. 책을 읽은 사람들이 현실을 바꿀 뿐이다. 책은 그렇게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현실을 바꾸고 미래를 만들어가는 힘이 된다.

  단편적으로 역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상식들을 바로 잡으면 현실의 왜곡된 측면들도 보이지 않을까 싶다. 중요한 것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이기 때문이다. 현재는 오래된 미래일 뿐이다. 단순하게 심심풀이용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을 돌아볼 수 있는 성찰적 태도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면 좋겠다. 지금도 왜곡되고 비틀리고 잘못 전해지는 사실들이 얼마나 많은가?

  한국사에 대한 상식을 바로잡는 일은 우리들 자신의 모습을 바로잡는 일이고 내가 살아가는 우리 사회 현실을 바로잡는 시작에 불과한 일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해석일지도 모르겠다. 역사를 전공한 저자의 입장에서 잘못된 역사적 사실들을 바로잡는 일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가장 잘 할 수 있고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사실들이 왜곡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격려가 필요하다. 저자와 출판사의 의도가 독자의 필요나 요구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널리 읽혀지고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바꿔줄 수 있는 책은 좋은 책이라는 사실은 여전히 변하지 않는 진리이다. 물론, 생각의 변화가 무엇이며 어느쪽이어야 하는지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080409-04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웽스북스 2008-04-09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을 것처럼 보여요, 물론 역사에 대한 지식이 워낙 희박해서, 생각이 뒤집히게 되는 게 아니라, 그냥 형성될 것 같은 지식도 많을 것 같지만 말이죠 ㅋㅋ

sceptic 2008-04-10 22:58   좋아요 0 | URL
참 애매한 표현인데...읽을 만 합니다...그렇게 확실하게 자리잡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