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극한 상황에 마주하면 인간의 본질을 알 수 있다. 평소에 보여주던 사회적 가면들을 껍데기에 불과하다. 타인에 대한 태도는 물론이고 자신의 정체성마저 혼란스럽게 하는 일들을 일상 속에서도 자주 접하게 된다. 그것이 나이든 타인이든 상관없이 그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과 나의 태도 그리고 실제로 벌어지는 행동 사이에서 인간성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류에게 있어 가장 극한 상황은 물론 전쟁이다. 가장 잔혹한 종인 인류는 전쟁의 역사로 보아도 무방할 만큼 처절하고 비참한 시간들을 보내왔고 보내고 있다. 전 인류의 트라우마로 일컬어지는 아우슈비츠의 유대인 학살은 20세기의 잔혹사를 대표한다. 숱한 영화와 책을 통해 만나고 또 만나도 인간에 대한 회의가 없어지지 않는다. 이해되지도 않고 상황을 짐작할 수도 없다. 그런 일이 있었다는 사실만을 전달받을 뿐 비판이나 해석이 불가능하다. 일제 군국주의에 의한 생체실험이나 잔인한 고문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겠지만 나치스에 의한 대량 학살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곳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증언은 동물원의 원숭이처럼 단순한 호기심의 대상일 수 없다.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와 질문을 던지게 한다. 프리모 레비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1%. 살아남을 확률만으로도 그를 감탄하며 그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 책 <이것이 인간인가>는 수용소에서 보낸 생생한 기록이다.

 단순한 호기심과 증언을 넘어선 자리에 이 책이 놓여야 할 것 같다. 레비는 화학자로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고 한다.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수용소 경험이 아니었다면 글을 쓰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저자의 서술 태도는 독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레비는 객관적이고 담담한 어조로 이야기 한다. 수용소로 이송될 때인 1945년 12월부터 러시아의 공습으로 수용소를 탈출해서 돌아오기까지인 1947년1월까지의 기록을 생생하게 읽을 수 있다. 소설도 수필도 일기도 아니다. 미친 시간에 대한 기록이며 증언이다.

이상하게도 인간은 어떻게 해서든 자신이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 어떤 상황이, 어쩌면 아주 보잘것없을 수도 있는 상황이 우리로 하여금 절망의 문턱을 넘지 않도록 해주고 계속 살아가게 해준다. - P. 201

 아마도 이런 생각이 아니었다면 레비는 살아오지 못했을 것이다. 레비가 아닌 누군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 수백만 명의 영혼 속에 섞여 있는 것이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살아 돌아온 특별한 사람의 이야기는 이후 수많은 사람들에게 인간의 본질을 다시 한번 들여다 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것이 인간인가?

 이탈리아 유대인이었던 저자의 특수성과 나치에 의한 수용소라는 공간이 만나 탄생한 이 책은 그 기록의 생생함에 놀라게 된다. 지나간 이야기를 더듬는 회고록의 형식이 아니라 순간순간을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해 놓은 메모들의 연결이다. 비루한 생을 이어가는 것보다 희망이 없다는 사실에 절망하는 이들의 이야기는 슬픔보다 숙연함으로 다가온다.

 인간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이다.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군대 신병 훈련소를 가장 근사치로 생각해보겠지만 비교도 할 수 없다. 참담하지만 인류의 역사였고 지나간 과거라고 묻어버리기엔 그 상처가 너무 크다. 스물 넷의 나이에 수용소에 끌려갔던 레비는 1987년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생의 막장에서 살아 돌아온 그가 자살을 선택했다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한 사람의 삶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어지지만 특별한 만남으로 도약하거나 좌절한다. 기억에 남을 만큼 감사와 도움의 대상이 되는 것보다는 한 사람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일이 식은 죽 먹기처럼 쉽다. 단번에 한 인간의 영혼을 파괴하는 일보다 더 무서운 일은 그에게 미래를 빼앗는 일이다. 우리는 그것을 희망이라 부른다. 생의 목표와 희망을 잃어버리는 순간 죽음과 크게 다르지 않다. 레비는 살아가면서 아우슈비츠 이야기를 썼지만 인간에 대한 회의에서 벗어났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형태는 다르지만 ‘이것이 인간인가’라고 묻고 싶은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우리는 여기에 동참하게 살아간다.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여기에서 출발된다.


070127-01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로운 발바닥 2007-01-28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우슈비츠에서 생존한 사람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다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네요...
1. 극한 상황에 처하면 인간의 본질을 알 수 있다...는 말에 참 동감입니다. 극한 상황까지 가지 않더라도 조금만 힘든 상황에 처하면 인간의 본성이 조금씩 엿보이는 것 같습니다. 좋을 때야 누구나 좋으니까요.
2. 아우슈비츠 학살에 대해서는 항상 이중적인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과거의 희생자가 지금의 학살자로 되어 있는 현실 또한 참으로 아이러니 한 것 같네요.

sceptic 2007-01-29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팔레스타인과 유대인은 아우슈비츠와 나치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와 상관없다고도 있다고도 할 수 있죠. 무엇인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지, 왜 이런 과정을 겪고 있으며 역사에서 배울 수 없는건지 아이러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