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 공간에서 본체와 추진체가 도킹하여 연결될 확률은 수시로 움직이는 골프홀에 공을 던져서 골인시키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상상이상의 변수가 넘쳐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욱 끔찍한 것은 실패하면 영영 떠다녀야 한다는 거다.
성공확률 제로, 숭고한 의지만이 도전가능하다
우주는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동경따위는 없었다. 어렸을 적 본 다큐때문이다. 어떤 프로그램인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지구를 떠나 다시 돌아온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확률이라는 설명은 생생하다. 예를 들어보자. 달에 간다고 치자. 보통 비행기처럼 슝 날아가 활주로에 착륙하는게 아니다.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한 거대한 기체를 죄다 떼어내고 남은 최소한의 본체가 달 주위를 빙빙 돌며 임무를 수행하고 올라오는 차선과 도킹을 해야 한다. 만약 둘이 만나지 못하면 영영 우주미아가 되는 것이다. 끝도 없는 영겁의 세월을 떠다녀야 하다니. 달 탐험이 계속 조작이라는 의문에 시달리는 이유도 바로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영화 <스테이션 7>은 내 어린 시절의 악몽을 스크린에 담았다. 우주 스테이션의 고장을 수리하러 따나는 우주인의 이야기다. 달착륙과 마찬가지로 가장 큰 걸림돌은 어떻게 스테이션의 문을 열고 도킹에 성공하느냐다. 이런 저런 궁리를 하고 실험을 해보지만 결과는 번번이 실패. 수명을 다한 정거장이 지구에 추락하면 가공할만한 사태가 벌어질게 뻔한데. 모두가 꺼리는데 한 명이 나선다.내가 총대를 매겠다. 성공 확률 제로인 이 프로젝트는 과연 성공을 거둘 것인가?
내용만으로도 흥미진진한데 세상에나 실화였다니. 만약 미국이 이 소재로 영화를 만들었다면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장면과 개인과 조직간의 살벌한 갈등을 그려넣어 블럭버스터급으로 재탄생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는 달랐다. 일단 돈이 없고 또 히어로를 보는 시각이 완전 판이하다. 정말 그 어려운 일을 해낸 사람 맞나 싶게 수수하고 겸손하다. 그럼에도 끝까지 눈을 떼지 못하는 까닭은 오로지 해결해내고야 말겠다는 숭고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정말 소련은 실패한 사회주의국가인가? 왜 모든 장점은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새로운 짜르를 모시려고 하는가? 영화는 답을 주지 않는다. 그저 담담하게 우주와 인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