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심리 상자 - 우리가 몰랐던 일본인의 24가지 심리 코드
유영수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웃나라끼리는 친하게 지내기 힘들다. 차라리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면 자주 볼 일이 없겠지만 앞드리면 코 닿을 곳에 있으니 원하지 않아도 부빋치게 된다. 한 나라안에서도 근처에 사는 동네 사람들고는 라이벌 의식이 생기는 것을 보라.

 

흔히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하지만 사실 완전히 다른 국가다. 단지 같은 동양인이고 비슷한 풍토를 가지고 있다고 착각할 뿐이다. 게다가 우리는 식민지 경험도 있다. 좋게 생각할 구석이 생길리가 없다.

 

그럼에도 원만하게 같이 살아가야 하는 이유는 이웃이기 때문이다. 마음에 안 든다고 이사를 갈 수도 없다. 숙명처럼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려면 잘 알아야 한다. 사소한 오해로 틀어지거나 혹은 뒷통수를 맞지 않기 위해서라도.

 

<일본인 심리 상자>는 24가지 심리코드로 한 나라를 들여다보고 있다. 다소 억지스러운 구분도 있지만 공감가는 부분도 많다. 이를 테면 일본인은 이재민임에도 괴롭거나 슬픈 표정으로 인터뷰를 하지 않는다. 도리어 가볍게 미소짓고 있는 경우도 있다. 우리같으면 억울하고 분해서 화를 내야 마땅한데도. 잦은 자연재난에 대한 수동적 태도에 원인이 있다고 하지만 사실은 낙관적인 마인드와 체념 의식 탓이 크다. 심지어 동일본 지진이 난 후 마을이 초토화 되고 나서도 야외에서 목간에 뜨거운 물을 받아 느긋하게 목욕을 하며 웃기도 한다.

 

물론 몇 년 살아본 경험으로 한 국가를 재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러나 저널리스트는 자신이 알고 있는 범위에서 최대한 시류를 놓치지 않고 글을 생산해내는 것은 기본이다. 유영수는 그 몫을 잘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