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뷰 4년만에 전설이 되어 버린 방탄소년단. 아이돌은 기획상품이라는 공식을 파괴하고 아티스트의 반열에 올랐다. BTS의 성공은 케이팝이 진정으로 인정받은 역사적인 사건이다.
가사는 유치하고 댄스는 과격했던 방탄,
계속 무한의 세기를 넘어서 계속
처음 방탄소년단이 데뷰했을 때는 그저 그런 아이돌 그룹의 하나였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한 두곡 내고 사라질 줄 알았다. 중소 기획사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댄스음악에 관한한 에스엠이나 와이지 혹은 제이와이피의 독과점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하다. 아이돌이 기획의 힘에 좌우됨을 감안하면 방탄은 출발부터 핸디를 안은 셈이다. 그래서인지 초창기 노래는 가사는 유치하고 댄스는 과격했다. 일단 눈길을 끌어보자는 무리수처럼 보였다. 그러나 나중에 알고 보니 심오한 뜻이 있었다. 상남자를 예로 들어보자.
" 되고파 너의 오빠 너의 사랑이 난 너무 고파 되고파 (중략)
아빠, 아빤 대체 어떻게 엄마한테 고백한 건지 편지라도 써야 될런지 뭔지, 네 앞에서 난 먼지"
팬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이게 뭐냐? 말장난도 아니고 게다가 아빠 엄마를 찾다니? 만약 전문 작가사가 붙었다면 절대 이렇게 쓰지 않았을 것이다. 방탄 스스로 썼기 때문에 이렇게 치기어린 가사가 나온 것이다. 그러나 이게 먹혔다. 10대들의 생각을 글로 토해냈으니까. 작곡도 마찬가지다. 이런 저런 전문가들이 거들었겠지마 기본적인 컨셉은 스스로 짜낸다. 아이돌은 곧 기획이라는 틀을 과감하게 벗어던진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들은 새로운 곡을 발표할 때마다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기획사의 힘이 약하니 노출빈도는 낮았다. 역설적으로 가요프로그램출연은 물론 각종 예능에 불려다니는 다른 아이돌과 달리 자신들만의 음악 컬러를 내는데 더욱 몰두할 수 있었다. 이런 노력은 유튜브를 포함한 인터넷의 확산으로 보답을 받았다. 국내에서보다 해외에서 더욱 각광을 받게 된 것이다. 결국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시상식 무대에까지 섰다. 세계 일류의 팝 아티스트를 만들겠다는 방시혁의 야망이 드디어 실현된 셈이다.
과연 BTS는 어떤 행보를 이어갈 것인가? 정점에 섰기 때문에 이제 내려올 일만 남았는지? 아니면 비틀스처럼 음악적 컬러를 확 바꾸면서 전설로 남게 될까? 최근 발표한 디엔에이를 보면 일종의 암시가 드러난다. 초창기 여자 아이 마음을 끌기 위해 엄마 아빠를 찾던 철부지는 이제 자신들이 레전드로 살아가야 된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있다. 일단은 오픈카를 타고 만끽하자. 이 인기를.
"우주가 생긴 그 날부터 계속 무한의 세기를 넘어서 계속
우린 전생에도 아마 다음 생에도 영원히 함께니까"
사진 출처: http://blog.naver.com/meelyeng26/220703024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