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리콘밸리의 잘나가는 변호사 레비 씨, 스티브 잡스의 골칫덩이 픽사에 뛰어들다!
로렌스 레비 지음, 강유리 옮김 / 클레마지크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미국은 신화의 나라다. 무슨 소리냐구? 아메리칸 드림을 떠올려 보라. 실현 가능 여부를 떠나 여전히 많은 미국인들의 가슴에 불을 지르고 있다. 더 나아가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까지. 그 이유는 단 하나. 역사라는 밑천이 짧기에 과거에 기댈 필요가 없어서다. 이런 상황에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람일 수록 더 대접을 받는다. 어떤 나라에서 구멍가게에서나 팔법한 햄버거를 체인화하여 전세계에 내다 팔 생각을 하겠는가?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정점은 헐리우드다. 헐리우드야말로 세계의 꿈의 공장이다. 한 때 실리콘벨리가 이 아성에 도전하겠다고 덤볐지만 둘은 앙숙처럼 지내다 언제 그랬냐는듯 손을 맞잡았다. 미국 성공신황의 뒷 면에는 늘 야합(?)이 도사리고 있었다.
<실리콘밸리의 잘나가는 변호사 레비 씨, 스티브 잡스의 골칫덩이 픽사에 뛰어들다!>는 긴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애플에서 밀려난 잡스가 권토중래를 꿈꾸며 차린 회사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지금이야 명성이 자자한 기업이지만 당시만 해도 특수효과라는 자체가 대중화되지 않았기에 매우 실험적인 스타트업에 불과했다. 특히 콘테츠와 관련된 저작권을 다루는게 복잡했다.
만약 스티브가 단순한 엔지니어였다면 기술자만 모았겠지만 그는 탁월한 기업가였다. 무엇보다 법과 제도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는게 급선무라고 여겼기에 무조건 최고의 변호사를 선임하고자 했다. 레비는 그 대상이었다. 호기심 반 기대 반의 심정으로 픽사에 뛰어들었는데 막상 가고 보니 엉망진창이었다. 끝도 없는 미로를 헤매는 기분이었던 그에게 극적인 역전의 기회가 찾아왔으니 그것은 바로 토이 스토리. 아, 하고 감탄을 내뱉게 된다. 이후 픽사는 넘버 원 그래픽 회사의 자리에 올랐고 단 한번도 그 지위를 내려놓지 않았다. 또 다른 아메리칸 드림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