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은 욕조에 몸을 담그고 책을 읽는 걸 자신만의 작은 사치라고 부른다. 사치 여부보다 어떻게 서적에 물을 묻히지 않는지가 더 궁금하지만, 나름의 비법이 있다고는 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알려주지 않았다, 뭐 꽤 근사하다는 생각은 든다. 큰 돈 들이지 않고 럭셔리한 느낌을 가진다는 건 멋진 일이니까.
내게도 소소한 사치거리가 있다. 자판기 커피도 그 중 하나다. 저녁식사를 하고 산책을 할 때면 습관적으로 자동판매기에서 밀크커피를 뽑아 마시는데 그 맛이 그렇게 좋을 수 없다. 아무리 좋은 향을 가진 고급 커피도 대신할 수 없는 안락함이 전해져온다고 할까?
걸어서 십분거리에 큰 산이 있는 것도 행운이다.매주 한차례 오르면서 스스로의 컨디션을 챙긴다. 언젠가 오버해서 한 주일에 두 번도 간 적이 있는데 역시 무리였다. 산 자체를 타는 것도 좋지만 역시 가장 즐거운 시간은 정상에서 먹는 식사다. 절에서 내주는 공양은 분위기만으로도 살아있음이 행복을 느끼게 해준다.
한 때는 인사동도 자주 들렀다. 유료도 있지만 대부분은 공짜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많아서다. 특히 개관일에 맞춰가면 작품설명도 듣고 다과도 즐길 수 있다. 먹을 걸 줘서라기보다는 대접을 받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한달에 한번은 꼭 가는 강남 순례도 빼놓을 수 없다. 다른 볼거리가 있어서가 아니다. 예스 24, 알라딘 중고서점 그리고 교보문고를 두루두루 돌아다니다 보면 반나절도 모자란다.
이렇게 적어놓고 보니 사치를 부리는데 중요한 건 돈이 아니라 시간임이 확실하다. 돈이 없다는 핑계로 여유로운 시간을 함부로 쓰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