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바 아저씨
네코마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한 사회가 민주화된다는 증거는 권위를 가진 사람들을 조롱의 대상으로 삼아도 문제가 되는 않는 거다. 지난 9년 보수당이 집권한 우리나라에서는 풍자 자체가 금기시되었다. 어디 감히 서민들이, 이라는 심보를 가진 이들이 집권세력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정권이 바뀌어 다소 완화되기는 했지만 언제 또다시 검열의 칼날이 날카로워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 땐 또 촛볼을 들어야 하겠지만 그런 일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정직하게 말해 좀 피곤하다.
한가지 좋은 조짐은 기꺼이 스스로 웃기는 상대가 되려는 중늙은이들이 늘어난다는 점이다. 아재개그는 대표적인 예이다. 첫 출발은 매너없고 권력지향적인 개저씨를 비꼬는 말이었지만 어느새 아저씨 스스로가 즐기고 있다. 심지어는 나이 50이 넘은 사람들도 팟케스트에 나와 방방 뜨는 말을 해댄다. 정봉주를 보라. 그보다 나이는 다소 어리지만 김어준도 같은 부류다. 자신의 권위를 내려놓음으로써 모두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이렇게 자기조롱이 일상화되면 역설적으로 세대간의 격차도 줄어든다.
<시바 아저씨>는 아내와 아이들에게 실권을 죄다 빼앗인 일본 아저씨들의 자화상이다. 집에 가면 자신이 쉴 곳도 마땅치 않아 담배와 라이터를 챙겨 집밖에 나오면 강둑에 죄다 아저씨들 천지인 식이다. 남편이란 그저 돈을 버는 개에 불과하다는 자조섞인 푸념이 절로 나온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유쾌한 자기 비하야말로 한 사회가 성숙해가고 있다는 증표라고 생각한다. 할머니도 할아버지도 주부도 워킹만도 실업자도 직장인도 대학생도 중딩도 고딩도 초딩도 낄낄 거리며 자기 처지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농담을 주고받을 수 있는 나라야말로 명랑국가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