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모(弔問帽)

 

 

 

평소처럼 모자를 챙겨 외출하려는데 없다. 잊어버린 것이다. 보스턴 레드삭스 마크가 음각으로 새겨진 멋진 야구캡이다. 멋도 멋이지만 머리에 잘 맞아 늘 즐겨 쓰곤 했다. 아무래도 어젯밤 산책을 하다 어디선가 흘린 것 같은데 도통 기억이 나지 않는다. 혹시 하고 공원을 다시 가보았지만 소용이 없다. 3년 이상 쓴 낡은 모자라 누가 훔쳐갈 일도 없을텐데. 

 

누구가 상실의 아픔을 겪는다, 사람이건 물건이건 늘 곁에 있어 피부처럼 익숙한 대상이 사라졌을 때 겪는 낭패감은 말로 설명할 길이 없다. 시대 또한 초월한다. 조선시대 유씨 부인은 바느질을 하다 부러진 바늘을 애도하는 조문을 쓰기도 했다(규중칠우쟁론기 중 조침문). 

 

어떤 사람에게는 하찮은 물건에 불과했을 바늘에 이토록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는 무엇때문일까? 이성적으로 보면 전혀 쓸모없는 짓이다. 아무리 오랜 동안 함께 했어도 이미 없어졌거나 고장난 물건에 집착하는 건 매몰비용을 인식하지 못한 탓이다. 곧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가 아니라 앞으로다.

 

그러나 사람 마음이란게 어찌 시계침처럼 째각째각 움직이기만 하겠는가? 익숙한 대상과 결별하는 건 마치 내 몸 한 조각을 떼어낸 것 같은 기분을 들게 한다. 눈과 귀에서는 멀어졌지만 심장은 사라져버린 사물과의 기억을 간직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새 모자가 하나 더 있어 딱히 어려운 점은 없다. 그러나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같은 걸로 하나 더 사볼까도 생각했지만 워낙 옛날 모델이라 지금은 구할 길도 없다. 설령 똑같은 물건이 있다고 해도 그 모자에는 추억이 없다. 언젠가 새 야구모자와도 친해지겠지만 당분간은 그냥 다닐 것이다. 그것이 나와 이별한 모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