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바웃 엘리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 골시프테 파라하니 외 출연 / 키노필름 / 2017년 5월
평점 :
우리나라 영화가 신파에서 벗어난 계기는 정부의 규제가 약화된 이후다. 곧 감종 검열에서 자유로워지자 소재도 다양해지고 연출 방법도 새로워졌다. 지금이야 추억거리로 여기지만 내 돈 내고 보는 극장에서 국정홍보 뉴스까지, 그것도 영화 시작하기 전에, 의무적으로 보아야 했다.
만약 지금 다시 대한뉴스가 부활하고 저속한 대사나 영상은 모조리 삭제된 영화를 관람해야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상상만으로도 끔찍하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실제 벌어진 나라가 있다. 이란이다. 이란은 중동국가중에서도 일찌기 세속정책을 도입하여 상업주의 성향이 강했다. 여성들의 비키니도 자유롭게 허용되었고 영화 또한 번성했다. 대신 독제국가였기 때문에 정치적 소재만은 금기였다. 그러나 호메이니가 재집권하면서 완벽한 신정구가로 돌아갔다. 종교가 정치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당장 여성이 타켓이 되었다. 죄다 히잡을 뒤집어쓰고 무채색 혹은 검은색 치마로 온 몸을 감싸야 했다.
<어바웃 엘리>에서는 역사의 퇴행에 따른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아무리 전제국가로 되돌아갔다고 해도 세속적인 풍습의 기억은 남게 마련이다. 가족끼리 해변가로 바캉스로 떠나 맞닥뜨린 아이의 죽음에 갈팡질팡하며 울부짖는다. 누구 하나 흥분을 가라앉히고 사태를 수습할 생각조차 못한다. 보는 내내 감독의 교묘한 눈가림이 느껴져 마음이 짠했다. 그는 자기검열을 하고 있었다. 명확하게 비판하고 싶어하는 내용을 가족이나 친척간의 혼란으로 대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