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정한 이타주의자 - 세상을 바꾸는 건 열정이 아닌 냉정이다
윌리엄 맥어스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관을 이겨내기란 매우 힘들다. 며칠을 굶은 얼굴로 다가와 한푼만 보태달라고 하는데 천원짜리 한장쯤 건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알고보니 그 사람은 같은 수법으로 수억원을 모아 떵떵거리고 살고 있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가난한 이를 늘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볼 수는 없는 일 아닌가? 기껏해야 천 원인데.

 

윌리엄 맥어스킬은 이런 내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준엄하게 꾸짖는다. 왜 즉흥적으로 남을 도와주는가? 과연 내가 주는 돈 천원이 이 사람에게 얼마나 큰 도움을 주고, 또 얼마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게다가 뒤에서 혹시 조정하는 세력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 피곤하군.

 

<냉정한 이타주의자>는 우리를 지배하는 법칙의 오류를 사례로 들어 증명한다. 동남아시아에서 하청기업을 둔 다국적 기업의 물건을 사는 것이 도리어 그들의 삶에 도움이 된다든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소비는 별로 영향이 없으니 대신 대기업의 탄소상쇄제도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는 식이다. 얼핏보면 매우 합리적인 선택같아 보이지만 속내는 철저히 공리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다. 곧 효율이 형평보다 매우 소중하다는 말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감정적이다. 이성은 후차적이다. 우루루 열정에 몰려 문제에 다가가는 것도 문제지만 합리적 머리만 내세워 모든 트러블을 해결하려는 시도 또한 어리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