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코스모스 - 우주를 향한 새로운 질문
데이비드 아이허 지음, 최가영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쏟아질 듯 눈앞에 가득 찬 별을 본 것은 캐나다에서였다. 놀랍다기보다 살짝 무서웠다. 마치 쓰리디 영화를 보는 기분이랄까? 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지리산 초입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언뜻 언뜻 불빛이 보였지만 산과 별로 둘러싸인 감정을 느끼기에는 부족하지 않았다. 옛날 사람들은 밤마다 이런 광경을 체험했을 것이다. 숭고한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별들을 보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 

 

오늘날 별보기가 힘들다. 공해탓도 있지만 지나치게 밝은 빛 때문이다. 밤도 낮처럼 돌아다니자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그렇다면 굳이 밤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물론 코엑스 몰처럼 들어가면 시공간이 사라지는 곳도 있지만.

 

<뉴 코스모스>는 코스모스의 후속편이 아니다. 그럼에도 칼 세이건을 들먹이고 코스모스 이후 35년간의 공백을 매우겠다고 용기를 낸 것은 그만큼 자신이 있다는 뜻이다. 코스모스가 우주의 신비를 들추어냈다면 뉴 코스머스는 과학적 발전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책의 수준이 교양서적이라기 보다는 읽기 편한 논문 리뷰같은 성격이 되고 말았다. 초심자보다는 약간 우주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