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쓴다는 것 - 일상과 우주와 더불어
다니카와 슌타로 지음, 조영렬 옮김 / 교유서가 / 201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때로는 무심코 고른 책이 뜻밖의 울림을 줄 때가 있다. 지하철을 탈 일이 있어 짧게나마 읽을 책을 고른 것이 <시를 쓴다는 것>이었다. 작가는 일본에서는 유명하다고 하는데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다. 글씨가 큼직하고 내용이 짧아 딱 지하철 안에서 읽기 좋다고 해서 고른 것 뿐이다.

 

이 책은 대담집이다. 시인 다나카와 슈타로에게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하는 식이다. 페이지가 휙휙 넘어가길래 신예 작간가 싶어 앞날개의 약력을 확인해 보니 세상에나 일흔여덟. 상상이 가지 않는 나이인데 어찌 이리 발랄하게. 

 

딱히 잘 하는게 없어 시인이 되었고 시인으로 밥을 먹고 살기 위해 공장을 풀가동하듯 닥치는 대로 시를 생산해냈다는 말에 바로 이거야라고 손총알을 쏘았다. 그래, 시인도 하나의 직업인데 뭔 고상, 그저 쓰고 벌고 쓰고 벌면 그만이지.

 

시인은 언어의 유희자이다. 쉽게 말하면 말장난이다. 일본어로 되어 있지 않아 그의 시가 딱 와닿지는 않지만 유타로의 시는 기본적으로 언어를 갖고 놀고 있다. 이를 테면 의성어로 내용을 연상시키는 식이다.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시인이 없는가? 여든 가까이 되어서도 머리를 긁적이며 어떠다보니 시인이 되었지만 조금이라도 늦게 태어났다면 이따위 일은 하지 않았을거에요, 라며 피식거리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