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떡 건축 - 회색 도시의 미래
황두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선진국이 부러운 이유는 단지 잘살기 때문만은 아니다. 선진국은 전문가가 많은 나라다. 그들 전문가는 대부분 글을 잘 쓴다. 곧 자기 분야의 지식을 풀어 내놓는 능력이 탁월하다. 실제로 특정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후 아예 전업작가로 돌변하는 경우도 많다. 심지어는 빼어난 소설을 쓰기도 한다. 움베르토 에코를 보라.

 

황두진은 건축가들 가운데 드물게 글을 잘 쓴다. 지명도는 김수근이나 승효상에 다소 뒤질지 모르짐나 글솜씨만큼은 넘버원이다. 그 덕에 주변의 시샘도 장난이 아닌 듯 싶지만, 건축가가 건물이나 잘 지을 것이지 뭔 글쟁이 흉내여? 굴하지 말고 꿋꿋이 써나가주시길.

 

이 책은 매우 도발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어느새 우리 주거의 지배적인 형태가 되어 버린 아파트먼트 단지를 대체할 방식이 있는가? 좁은 땅이기에 인구가 많기에 편하기에 라는 이유를 덧붙어 아파트먼트를 지어댔지만 사실은 원조받는 시멘트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우여곡절끝에 찾은게 아파트먼트였다. 외국에서는 임대주택에서나 사용될 법한 방식이었다. 값싸게 대량으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좁은 땅에 지은.

 

저자는 무지개떡 건축을 대안으로 내세운다. 무지개떡은 그가 지어낸 말이고 사실은 주상복합혼용방식이다. 주거에 상가시설이나 기타 용도를 함께 넣어 진정한 직주근접을 이루자는 뜻이다. 개인적으로 이 방식에 의문이 많지만 젊은 세대나 단기 거주자들에는 솔깃한 제안이 아닐까 싶다. 아파트먼트로 재개발 하기 애매한 혹은 규제로 증축자체가 불가능한 기존의 낮은 단층 주거지에서는 가능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