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홀로 볼링 (보급판) - 사회적 커뮤니티의 붕괴와 소생
로버트 D. 퍼트넘 지음, 정승현 옮김 / 페이퍼로드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 밥을 먹고 홀로 영화를 보고 집에서 나만이 술을 즐기는 시대가 되었다. 불과 십년전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세상이다.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은 측은함의 대상이었으며 홀로 술을 마시는 것은 알코올 중독자나 마찬가지 대접을 받았다.

 

<나 혼자 산다>라는 프로그램이 생길 정도로 홀로족이 늘어났다. 단지 젊은이들만이 아니다. 사별이나 여러 사유로 혼자 사는 노인들도 많다. 그 수가 적을 때는 관심의 대상정도에 머물렀지만 다수가 된 지금은 당당히 스스로의 삶을 드러낼 수있게 되었다. 혼자 사는게 뭐 어때서? 실제로 결혼을 포기한 혹은 하지 않겠다고 결심한 비혼까지 늘어나는 추세다.

 

선진국은 일찌기 홀로 사회를 경험했다.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출산율 저하다. 젊은 부부들이 아예 아이를 낳지 않거나 낳더라도 한 명만 낳으면서 핵가족이 보편적인 삶이 되었다. 그렇게 자란 아이들은 일찌감치 독립하여 혼자 사는데 익숙해졌다. 결혼에 대한 환상은 일찌감치 버렸다. 홀로 사는 사람들이 늘면서 공동체는 깨지고 사회는 원자들로 이루어진 각개격파 시스템으로 변했다. 모두가 혼자 투쟁해야 하는 각자도생의 시대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 정도가 심하다. 혼자 사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는 적고 그런 사람들은 늘어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이들은 서로 필요할 때는 잠시 뭉치고 목표가 사라지면 얄짤없이 돌아서는데 익숙해졌다. 대책없는 혼자사회의 결말은 파국밖에 없다고 여져겼다.

 

그러나 반전이 벌어졌다. 혼자 있다는 것은 그만큼 남의 간섭을 덜 받고 스스로의 생각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인의 문제를 사회와 연결시켜 집단의 목소리를 내는 데에도 주저함이 없다. 여럿이 있었다면 남의 눈치를 보느라 참고 말았을 문제도 터뜨리고 보는 것이다. 광장민주주의는 대표적이다. 모두가 개인들이지만 뭉치면 거대한 힘을 발휘한다. 그러니 나홀로 볼링을 친다고 해서 쯧쯧거리며 보지 마시길. 그는 방금 광장에 나가 민주주의를 외치고 돌아와 집단에서 혼자 떨어져 자신만의 여유를 찾기 위해 볼링골을 굴리고 있을지도 모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