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박한 공기 속으로
존 크라카우어 지음, 김훈 옮김 / 민음인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에베레스트는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적어도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그 신비감이 산악가들을 불러 모은다. 정복이라는 표현은 부적절하지만 정상에 등극하는 것이 뉴스가 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이 알려져서인지 이제 에베레스트는 그정도 위상은 갖지 못하고 있다. 전문산악인가 셀파의 도움만으로도 오를 수 있는 산이 되었다.
이 책은 초창기 에베레스트 산이 관광상품화되던 시기에 나왔다. 평생 꿈이 에베레스트 등정인 사람들이 꽤 많다는 점에 착안해 원정팀을 모집한 것이다. 물론 비용은 많이 들지만 그 돈을 아까워하지 않는 부자들은 차고도 넘친다.
그러나 자연은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다. 8천미터가 넘는 산이 쉽게 자존심을 내버릴 까닭이 없다. 어쩌면 비극은 이미 예고되어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이 책이 돋보이는 이유는 자연을 정복한 인간 어쩌구 저쩌구 식의 흔한 스토리가 아니라 산에 맞서는 인간이 어떻게 나가 떨어져가는지를 냉정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대장격인 자신은 살아남았지만 나머지 대원들이 죽음에 이르렀는데도.
제목 그대로 에베레스트에 오르는 것은 희박한 공기를 뚫고 나가는 것이다. 그만큼 죽을 확률이 높다. 그럼에도 끊임없이 산을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매주 한차례 산에 간다. 20년 넘게 이어진 나만의 습관아닌 습관이다. 산도 매번 똑같다. 관악산. 코스도 변함이 없다. 내게 왜 산에 오르냐고 한다면 딱히 할말은 없다. 그저 오를 뻔. 정말 산이 거기 있기 때문에 오른다고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