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읽지 못할 책은 없다 - 평범한 대학생을 메이지대 교수로 만든 독서법
사이토 다카시 지음, 임해성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처럼 책을 숭상하는 나라도 드물다. 책 읽는 아이는 칭찬하면서 뛰어놀면 욕을 한다. 독서노트를 만들어 감상문을 쓰게까지 한다. 어른이 된 지금 돌이켜보니 끔찍한 짓이었다. 책을 읽고 자기 생각을 정리하여 비판적인 글을 쓰는 것은 머리가 어느 정도 영글어야 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감상은 좋았다, 휼륭하다, 본받아야 한다가 고작이다. 위인전을 왜 그렇게 읽게 시켰는지 이해가 된다. 

 

책이란 필요할 때 읽으면 된다. 이를 테면 저녁 시간에 중국음식을 시켜 먹으려면 전단지나 서개책자를 보면 된다. 지금은 스마트폰이라는 유용한 도구가 있어 댓글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다른 책도 마찬가지다. 내게 꼭 유용하지 않다면 거들떠볼 이유가 없다. 문제는 어렸을 때부터 수험용 책이나 교과서만 읽느라 여러 책을 접할 기회가 제한된다는 것이다. 기껏 대학에 갈 나이가 되어다고 해서 사정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요즘같은 시대에는 스팩용 책만 읽는다. 대체 언제 책을 읽을 수 있겠는가? 책말고 다른 볼거리가 차고 넘치는데. 

 

책을 읽는데는 결심이 필요하다. 꼼짝앉아 서너시간 이상 책을 보는 것은 보통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독서를 하는 이유는 분명히 좋은 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종류별, 단계별 독서법을 소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쉬운 책부터 자주, 그리고 습관처럼 읽기를 권한다. 좋은 지적이지만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책을 읽기 위해서는 시간적 여유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새벽같이 출근하는 사람에게 밤 늦게 책을 읽으라고 권하는 것은 무모한 젓이다. 그렇다고 시간이 마냥 많다고 해서 책을 많이 읽는 것도 아니다. 목적의식을 상실한 상태에서의 독서는 무의미한 시간 보내기에 불과하다.

 

우선 책에 대한 호기심을 가져야 한다. 어떤 형태의 책이 되었건 마음이 끌려야 한다. 하다못해 섹시한 잡지나 상품 카돌로그 북이라도 좋다. 보면서 관심이 생겨야 한다. 사람의 두뇌한 희한해서 호김심이 작동하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예를 들어 이케아 카달로그북은 매우 세심하게 잘 만들어진 책인데 읽다보면 북유럽에 대한 호기심이 절로 생겨난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도 눈길이 간다. 관련 책들을 찾다보면 또 다른 책이 불쑥하고 튀어나온다.

 

한 주제나 작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책을 읽다보면 인식의 폭이 넓어지고 깊어진다. 그러다보면 어느 순간 글쓴이의 생각을 알게 되는 시기가 오는데 그 때는 알 수없는 만족감에 뿌듯해진다. 나이가 들어 비루해졌을 때 책이 친구라면 얼마나 든든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