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펭귄의 북 디자인 이야기
폴 버클리 엮음, 박중서 옮김 / 미메시스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출판사에서 근무할 때 가장 고민한 부분은 책 표지다. 여러가지 시안을 두고 고민하지만 딱히 이거다 싶은 마음이 쉽게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때는 여러 버전의 표지를 책에 쒸운 다음 서점에 가서 진열대에 슬그머니 놓고 어느 표지가 눈에 뜨이는지, 손님들이 어느 책을 집어 드는지 몰래 관찰하기도 한다. 그만틈 책 표지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펭귄은 값싼 페이퍼 북의 대명사이지만 북 디자인으로도 유명하다. 펭귄 로고 자체부터 특이했다. 도서 브랜드를 펭귄으로 한다고. 초창기에는 반대가 심했지만 이제 펭귄은 명실상부하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다. 

 

이 책은 펭귄이 책 디자인을 위해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를 보여준다. 작가와 상의하며 책 내용에 부합하는 표지를 선정하는 것은 기본이고 타이포(글자체)나 간격에도 강박에 가깝게 심형을 기울인다. 다른 듯 하면서도 이 책은 펭귄이다라는 공통분모를 찾기 위해서다.

 

무라카미 하루키도 전담 북 디자이너가 있었다. 영미판 소설은 칩 키드. 에세이는 안자이 식으로.  일부의 혹평도 있었지만 그가 지금처럼 오래 소설가로 살아남은 이유에는 일관된 디자인 덕도 컸다, 고 생각한다.

 

우리 상황은 다소 다르다. 물론 훌륭한 북 디자이너가 많지만 작가와 출판사간에 균형이 미묘하게 어긋난다. 구체적으로 출판사가 슈퍼 갑이고, 디지이너가 울트라 을, 작가가 힘없는 을인 경우가 많다. 베스트셀러 작가라도 해도 북 디자인에 관여하기는 힘든 구조다. 작가의 역량 문제도 있지만 쓸데없는 간섭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는 특정 작가라면 떠오르는 북 디자인이나 일러스트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