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밀의 화원 ㅣ 네버랜드 클래식 11
프랜시스 호즈슨 버넷 지음, 타샤 투더 그림, 공경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남성이 지배하던 시절 여자들의 역할은 매우 제한되었다. 주로 집안일. 여성들이 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은 그마나 소설가였다. 애를 다 키우고 나서 상대적으로 시간은 많지만 그렇다고 세상에 나가 직장을 구하고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글의 소재도 매우 제한되었다. 멋진 남자를 바라는 여자들의 설레임이 주였다. 채우지 못한 욕구를 그런 식으로 달랜 것이다. 시대가 바뀌었지만 이 전통은 오래도록 살아남아 현재에도 신데렐라 신화가 드라마에서 재현되고 있다. <도께비>를 보라.
<비밀의 화원>은 낭만 소설의 궤도에서 약간 비껴나 있다. 우선 주인공이 아이들이고 배경은 화원이다. 게다가 아픈 소년까지 등장한다. 여자가 남자에게 치유받는 게 아니라 도리어 여자가 병악한 남자 아이를 돌본다. 나는 이 책을 나이가 들어 발견했다. 그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 보니 제목이 썩 다가오지 않았고 이야기도 심심할 것이라는 편견 때문이었다.
그러나 완역된 글과 타샤의 일러스트를 함께 읽고 보며 화원의 정경이 눈에 들어오는 듯한 묘사에 감탄했다. 여러 버전 가운데에서도 표지의 그림도 이 책을 선택하는데 한몫했다.
덧붙이는 말
신혼생활을 하던 내 집 앞에는 커다란 화원이 있는 저택이 있었다. 올망졸망한 빌라 촌 가운데 우뚝 솟은 듯한 느낌을 주던 그 집을 지나가면서 내내 궁금증에 휩싸였다. 큰 나무들이 즐비한 것을 보니 묘묙 장사를 하는 집 같기도 하고 아니면 큰 돈을 벌어 관상수를 심어놓는 것은 아닌지라는 생각도 들고. 끝내 그 집의 정체를 밝히지는 못했지만 <비밀의 화원>을 읽으며 새삼 그 집이 그리워졌다. 아직도 있으려나? 그 화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