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클래식 세트 - 전3권 ㅣ 더 클래식 시리즈
문학수 지음 / 돌베개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에서는 서양 고전음악을 클래식이라고 부른다. 잘못된 표현이다. 클래식이란 그 분야의 기준이 될만큼 오랫동안 회자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테면 비틀스 또한 팝 음악의 고전이다. 따라서 서양고전음악을 클래식이라고 칭하는 것은 잘못이다. 정식 명칭은 클래시컬 뮤직이다.
아무튼 이 책은 서양고전음악의 사연과 관련 음반을 동시에 소개하고 있다. 안동림의 이 한장의 명반 현대판이라고나 할까? 안 선생이 활동하실 때는 정보나 자료가 귀할 때라 그런 책이 먹혔다. 출처도 불분명한 이야기를 짜집기해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음반도 죄다 엘피라 실제 들어본 사람도 드물어 객관적인 평가가 드물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서양고전음악의 음반 또한 씨디 혹은 디지털 음원 더 나아가 유튜브에서 무료로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만큼 보는 눈과 뒤는 귀가 많아졌다. 평론가의 사소란 실수 하나라도 발견되면 쥐잡듯이 뒤지는 세상 아닌가?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성실성이다. 저자가 직접 듣고 쓴 티가 제대로 난다. 음악평론가라고 하는 사람들중에는 제대로 처음부터 끈까지 듣지도 않고 애매하고 모호하게 몽환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멋으로 여기는 이들도 있기 때문이다. 문학수는 겉멋 따위는 던져 버리고 직관적으로 음악 평을 써나가고 있다. 초기 고전음악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그 기간도 장대하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음악은 설명으로 접하는 우를 범할 수도 있으니 초심자들은 피하시길. 다시 말해 책의 두께에 질려 가뜩이나 어려운 서양고전음악을 기피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설명 따위는 다 건너뛰고 소개하는 음반을 유튜브에서 찾아 배경음악 삼아 틀어놓고 생활하기를 권한다. 문학수씨처럼 처음부터 전력투구하듯 클래시컬 음악을 들어버릇하면 지쳐 나가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