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 정의 - 문학적 상상력과 공적인 삶
마사 누스바움 지음, 박용준 옮김 / 궁리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시적 정의>는 대법관 출신 김영란이 아니었으면 알지 못했을 책이다. 적어도 내게는. 이른바 선진국이 부러운 이유는 전문 분야가 골고루 인정받으며 서로를 존중하는 문화가 있다는 점이다. 우리처럼 권력이 최고 자리에 틀어잡고 모든 영역을 아래로 거느리는 시스템에서는 부럽기 짝이 없다. 

 

감영란은 소설 읽기가 취미였다. 왠지 드러내기 부끄러운 느낌이었을 것이다. 무슨 법관이 소설 나부랭이를. 그는 편견에 맞서기보다는 뭔가 의미가 있을거라 생각했다. <시적 정의>는 이런 물음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 

 

시나 소설은 그저 시간 때우기가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는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특정 제도의 지배 아래 있게 되면 이런 저런 영향을 받아 혜택이나 피해를 보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지 않았다면 최순실같은 인간이 판을 치고 다녔겠는가? 대통령 혼자 독재를 휘두르지 않도록 철저하게 견제와 균형을 하는 제도가 자리 잡았다면 그런 일들이 벌어졌겠는가?  제도의 문제인가, 아니면 운영하는 사람들의 나약한 두려움 때문인가?

 

우리는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에서 수많은 스토리가 얽히고 설켜 있음을 본다. 욕망, 배신, 분노.  모두가 법적 처벌을 원하다. 박사모를 제외하고는.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과연 법적 처단만으로 그들의 죄는 면제받을 수 있는가? 법의 테두리 바깥에서 벌어졌던 그들의 죄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 때 필요한 것이 문학적 상상력이다. 그들이 저지른 죄를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한다. 두고두고 교훈이 될 수 있도록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현실을 반영한 시나 소설을 생산해내야 한다. 찰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이 위대하고도 비참했던 대영제국 초기의 모습을 영원히 기록하고 있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