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페미니즘 공부법 - 도쿄대에서 우에노 지즈코에게 싸우는 법을 배우다
하루카 요코 지음, 지비원 옮김 / 메멘토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스스로를 여성주의자라고 말하는 사람 치고 실제로 그런 이는 없다. 더우기 남자들은. 실제로 여성에 너그럽다고 공공연히 언급하는 것을 마치 패미니스트인 것처런 치장하는 숫컷들이 얼마나 많은가? 너그럽다는게 대체 무슨 말인가? 여성을 보호대상쯤으로 여기는 권위주의 시대의 발상 아닌가?

 

저자는 도쿄대에서 패미니즘을 제대로 공부하기로 결심한다. 연예계통에서 일하는 글쓴이에게는 낯선 경험이었다. 공부도 낯설고 패미니즘도 어설프고. 요코는 그 과정에서 여성주의야말로 인간에 대한 기본 신뢰라는 교훈을 얻게 된다. 

 

그러나 과연 그 사실 하나를 깨닫고 위해 도쿄대에 가서 어려운 문헌을 읽고 서로에게 상처주는 토론을 해야만 하는지는 의문이다. 은근히 도쿄대 경험을 자랑하는 것은 아닌지? 만약 저자가 시골 동네에 가서 할머니들과 함께 농사짓고 관청과 싸우며 그 과정을 글로 썼다면 훨씬 더 공감이 갔을 것이다.  

 

덧붙이는 말

 

저자가 연예계에서 일해서 그런지 여성비하나 추행은 다른 업종보다 더한 듯 하다. 아무래도 자유로운 영혼 운운하며 격식을 차리지 않기 때문에 더 자주 발생하겠지. 작년 우리 문화예술계를 뜨겁게 달군 여성폄하 논쟁을 보며 예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해답은 서로 조심하며 직업윤리를 엄격히 세우는 것밖에 없다. 박찬욱 감독의 인터뷰(여배우 강압 노출? 노동 현장 인권 문제)를 참고하시길.

 

http://www.hankookilbo.com/v/ff0a5e3ebfda41f2b507f1c88bdd75a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