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의 달콤한 향기
버트 랭카스터, 토니 커티스 / 피터팬픽쳐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공의 달콤함 향기>는 <내부자들>의 모티브가 된 영화다. 권력의 가까이에 붙어 밀고당기기로 세력을 불리는 언론인과 그 곁에서 똘마니 노릇을 하다 배신을 당한다는 설정까지 거의 흡사하다. 실제 <내부자들>에서도 이 영화를 언급할 정도다. 일종의 오마주인 셈이다.

 

권력의 세상은 흔히 동물의 왕국에 비유된다. 왕 혹은 여왕 노릇을 차지하기 위해 암투를 처절하게 벌이는. 사람이나 동물이나 살아가는 이치가 흡사한 셈이다. 먹음직스러운 자리는 제한되어 있으니 벌어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러한 상황을 정의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교과서가 되지만 이야기 측면에서 보면 무궁무진한 소재가 된다. 이 영화의 두 축인 버트 랭카스터와 토니 커티스는 신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공모관계를 맺는다는 설정부터가 흥미롭다. 평상시같으면 전혀 대면하지 못할 것 같은 사람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힘을 합치는 셈이다. 마치 박 대통령이 최순실과 손을 잡듯이.

 

더욱 재미있는 것은 얼핏 보면 이들은 주종, 곧 주인과 하인 관계 같지만 주인은 지시만 하는 동안 실제 하인이 하는 일이 늘아나면 관계가 역전된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문고리 3인방이 박 대통령에게 향하는 통로를 딱 막어서니 이들 세명이 권력이 되는 것과 같다. 헤겔의 주인 노예 변증법 관계가 적용되는 순간이다. 

 

근본적으로 인간은 나약하다. 원해부터 선하고 악한 인간이 정해진 게 아니다. 각자 위치에 따라 그 때 그 때 상황에 맞게 적절히 행동해 나갈 뿐이다. 따라서 악을 근원적으로 뿌리뽑는건 일종의 진공상태를 만들자는 말과 다름이 없다. 적당히 해먹게 내버러두어야 한다. 물론 상한선을 정해서. 파국을 향해 치닫는 두 주인공은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미 무한궤도에 올라탔기 때문이다. 마치 박 대통령과 최순실처럼. 그들은 한 때 누렸던 성공의 달콤한 향기에 취한 채 큼큼한 구석방에서 나머지 생을 썩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