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토피아 - 한국어 더빙 수록
리치 무어 외, 샤키라 (Shakira) 외 / 월트디즈니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애니메이션을 극장에서 본다는 건 내 영화사전에는 없던 일이다. 굳이 떠들썩한 분위기에 휩싸여 흥분하고 싶지 않아서다. 이런 나도 어린 시절에는 로버트 태권브이를 영화관에서 보고 일주일내내 주제가를 길거리에서 소리 높여 따라 불렀다우. 달려라 달려. 

 

<주토피아>를 극장에서 보지 못한 분들은 큰 실수를 한거다. 우여곡절끝에 경찰에 합격한 주디 홉스가 열차를 타고 도시로 가는 과정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세상은 꼭 큰 스크린으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장점이 단지 이 장면뿐이었다면 굳이 시간과 공을 들여 리뷰를 쓸 필요는 없다. 역시 핵심은 이야기다. 

 

주디 홉스가 겪는 편견과 장애물은 미국 사회의 인종주의를 비꼰 것이라고 하지만 이런 현상이 단지 미국만의 일은 아니다. 우리도 더하면 더했지. 흥미로운 것은 차별의 다른 이름은 다름이라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어떤 교훈적인 말이 아니라 바로 화면으로. 실제로 영화에서는 동물의 비율이 그대로 등장한다. 기린은 길게 토끼는 작게 식으로. 이처럼 다양한 크기의 동물이 한데 어우러져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야말로 주토피아임을 증명하듯이. 

 

이런 분석을 모른다고 해서 영화가 재미없는 건 아니다. 영화는 직관적이어야 한다. 이런 저런 해석에 앞서 보는 순간 흥미가 폭발해야 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토끼, 여우, 코뿔소, 기린, 나무늘보 등 실제 동물의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려내고 있어 영화 보는 내내 흥미로운 사파리를 한바퀴 돈 기분이 들 정도다. 특히 나무늘보를 공무원으로 묘사한 부분을 보고는 마시던 콜라를 뿜을 뻔했다. 왜인지는 다들 아시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