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타의 매 동서 미스터리 북스 11
대쉴 해미트 지음, 양병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타의 매>는 소설도 유명하지만 영화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험프리 보가드가 맡은 이 영화는 소위 르와르 영화의 신화가 되었다. 물론 서양 애들 이야기다.

우리야 언제나 하드보일드 아니었나? 무슨 이야기냐 하면 우리는 과학적 추리같은 것이 어울리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그저 혐의가 좀 있다 싶으면 강제로 데리고 와서 패대기하면 범인이 되는 문화에서 살아왔다는 것이다. 그러니 추리니 뭐니 다 필요없었다.

말타의 매는 바로 이런 하드보일드를 보여주는 소설이다. 살인사건이 일어나면 탐정이 모든 용의자들을 상대로 추리를 하고, 그들 모두를 불러보아 '당신이 범인이야'라는 식의 시대는 끝났다는 것이다. 사건은 낭만적이지도, 단순한 지적게임도 아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범인을 잡느냐 못잡느냐, 어떻게 하면 범인을 때려눕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야말로 하드보일드의 진정한 강자가 아닌지 모르겠다.

추신 : 그나마 소설이 번역되어 있는 것은 다행이지만 워낙 오래전에 번역된 것을 판만 바꾸어 재출간해서인지 문장이 매끄럽지 않다. 보다 충실한 번역본이 나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