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에 소개되면서 더욱 인기를 끈 나의 아저씨. 

아이유는 자신에게 걸맞는 맞춤형 옷을 입었다. 


내가 상처받은 걸 아는 사람. 불편해. 보기 싫어  


드라마를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편이 아니다. 한두 편으로 끝낼 이야기를 구태의연하게 질질 끈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시청률을 잡기 위해. 그러나 늘 그렇듯이 예외는 있다. 날을 잡아 나의 아저씨를 감상했다. 사일 정도 걸렸다. 뒷북도 이런 뒷북이 없다. 한창 화제에 오를 때는 아예 모르다가 뒤늦게. 사실 주연 두 배우에 대한 비선호도도 한몫했다. 이선균은 목소리 개성으로 버티는 연기자이며 아이유는 가수 활동 쉬는 짬짬이 드라마에 나오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물론 내 주관적인 평가다. 정직하게 말해 이 둘의 연기를 다 본 지금도 내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다. 둘 다 정형성(고정된 이미지)이 너무 강하다. 


한 가지 분명한 건 적역이었다. 마치 두 사람이 실존 인물처럼 여겨질 정도로 녹아들었다. 시종 일관 지치고 맥 빠진 종신형 노예 같은 표정을 보여준 이선균과 서늘하면서도 매력적인 그러면서도 어둠이 짙게 배인 아이유의 얼굴은 잊을 수가 없다. 다행히 마지막은 해피엔딩이었지만. 


사실 가장 칭찬해 주고 싶은 사람은 따로 있다. 바로 작가다. 어떻게 이런 소재로 극을 쓸 생각을 했는지 놀랍다. 사실 이 드라마는 두 사람의 로맨스로 전개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어떻게든 브레이크를 걸며 끝까지 긴장감을 유발했고 그 사이사이 직장 내 정치, 불륜, 도청 등 자극적인 주제를 적절히 배치하여 다채로운 스토리를 만들어냈다. 동시에 형제애와 가족 간 우애까지 곁들여 다양한 연령대를 시청자로 끌어 모을 수 있었다. 


물론 드라마 자체로서는 허점도 많았다. 부정을 저지를 배우자를 모른 척 한다거나 휴대폰 도청을 들키지 않는다거나 법적인 문제가 아무 일 없듯이 해결되는 건 아무리 좋게 해석해도 어색했다. 그럼에도 이런 모든 단점을 극복하게 하는 힘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메시지다. 누군가에게 빚을 졌다면 감사함을 표시하기에 앞서 잘사는 게 갚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