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가 알려주는 전염의 원리 - 바이러스, 투자 버블, 가짜 뉴스 왜 퍼져나가고 언제 멈출까?
애덤 쿠차르스키 지음, 고호관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천히 나아지기?


인간이 발명한 가장 위대한 성과 중 빼놓을 수 없는 게 복리다. 간단히 말해 이자에 이자가 붙는다는 말이다. 곧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계속 이자가 붙기 때문에 나중에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돈을 빌려주는 처지에서는 떼돈을 벌고 빚지는 사람은 처음엔 가볍게 생각하다 알거지가 된다. 복리의 원리는 돈 계산에만 쓰이는 게 아니다.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잘 알고 있다. 2020년 2월 첫 코로나 19 확진자가 나왔다는 사실을, 그 한 명은 지금 몇 명이 되었는가? 누계로는 10만 명을 훨씬 넘었고 하루에도 5~6백 명을 넘나든다. 세계적으로 보면 그 규모는 더욱 엄청나다. 2021년 4월 13일 현재 누적감염자는 1억3천여 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296만 명이다. 조그마한 불씨 하나가 산을 다 태워먹은 셈이다. 


<수학자가 알려주는 전염의 원리>는 모기의 날갯짓 하나가 어떻게 한 나라를 초토화시키는지를 보여준다. 이른바 아웃브레이크 때문이다. 곧 잠잠하다가 어느 순간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날뛰는 것이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건 아무리 난리를 쳐도 언젠가는 사그라진다. 백신 때문이든 집단면역 덕이든. 자 그렇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상태인가? 임계치까지 도달해 서서히 줄어드는 시기인가? 여전히 진행형인가? 불행하게도 과학적으로는 후자다. 다양한 변이들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집단면역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소리다. 결국 백신만이 살 길인데 이 또한 만만치 않다. 모든 바이러스를 퇴치시킬 수 있는 맞춤형 백신은 없기 때문이다. 적어도 현재로서는.


글쓴이는 전염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시키고 있다. 이를 테면 금융, 뉴스, 컴퓨터 바이러스 등등. 정직하게 말해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무리한 해석이라는 느낌도 든다. 모든 관심이 코로나에 쏠려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과연 지금 바이러스에도 GBLGetting Better Slowly이 적용될지는 미지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