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ALWAYS in the mood for dancing
살아오면서 잘했다고 생각하는 결정이 몇 가지 있다. 언뜻 떠오르는 세 가지는 자전거 타기, 수영하기 그리고 춤추기다. 공교롭게도 다 배우기와 관련이 있다. 내 기억으로는 자전거는 초등학교 때 아버지께서 가르쳐주셨다. 처음부터 성인용으로 매우 공격적으로 배웠는데 다행히 큰 시행착오 없이 곧잘 타게 되었다. 한 때 전문 라이더 버금가게 즐겼지만 고관절 이상이 생긴 이후에는 완전히 끊었다. 가끔 그립다. 수영은 이십대 후반에 처음 접했다. 물론 그 전에도 개헤엄 정도는 할 줄 알았지만 한계가 있었다. 한여름 후배들과 함께 정식으로 강습을 들었는데 이게 효과만점이었다. 딱 한 달만 채웠는데 그 다음부터는 물속에서 자유자재로 몸을 놀릴 수 있었다. 지금도 여전히 즐기는데 바이러스 때문에 문을 닫아 가지 못하고 있다. 몸이 다 쑤신다. 세 번째는 춤이다. 느지막하게 입문했는데 내게는 꽤 의외였다. 춤을 추고 싶다는 생각을 단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아이돌 노래를 좋아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그들의 춤에 빠져들었다. 우여곡절 끝에 알게 된 춤의 세계는 넓고도 깊었다. 안타깝게 코로나 때문에 1년 넘게 춤을 못 추고 있다. 슬프다.
<치어리딩 클럽>은 말기 암 선고를 받고 조용히 생을 마감하기위해 실버타운에 찾아온 여인에 대한 이야기다. 마샤의 상상과 달리 동네 노인들은 매우 분주하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라고는 생각하기 힘들 정도로 바쁘다. 그러다 문득 젊은 시절이 떠오른다. 치어리더로 잘 나가던 찬란한 시절이. 그 다음 내용은 지극히 예상 가능하다. 할머니 치어리더 단은 냉소를 받지만 결국 성공하고 마샤는 삶을 마감한다. 가장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군무장면도 조촐하다. 그럼에도 영화 보는 내내 흐뭇했던 이유는 누구나 가슴 한 구석에 꿈을 지니고 살아가면 행복하다는 거다. 반드시 1등을 해야만 하는 게 아니다. 그 자리에 함께 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이미 당신의 드림은 이루어졌다. 나는 참 행운아다. 여전히 춤출 때의 기쁨을 알고 있으니까. 언제까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