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적응자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


스스로를 반사회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코로나 19는 딱히 불편한 게 없다. 평소에도 사람들을 거의 만나지 않고 인파가 붐비는 장소에는 얼씬도 안하고 혼자 노는 것이 너무도 편하고 익숙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바이러스 세상은 이들에게 축복일지도 모른다. 이런 저런 시선에서 자유로워지니까. 더욱이 명절이면 얼굴도 잘 모르는 친척에게 훈수 들을 일도 없고.


버나뎃은 한 때 천재 건축가 반열에 올랐다. 정점에서 그는 돌연 사라졌다. 실력이 없어서가 아니었다. 자신이 남들과 어울리지 못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여자였다. 건축계에서 여성은 별종 취급을 받았다. 나름 결혼하고 딸도 낳으며 시애틀에 자리 잡으며 평범하게 살고 있다고 자부했지만 주변에서는 끊임없이 잡음이 일어난다. 바로 이웃과의 분쟁이었다. 그는 적당히 묻어가는 길 대신 고개를 치켜들고 잘잘못을 따지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러던 어느 날 딸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남극 여행을 추진하다 난데없이 러시아 스파이와 엮인다. 인터넷상의 가상 안내인에게 개인 정보를 몽땅 알려준 결과였다. 버나뎃은 이 일로 정신요양원에 갇히게 될 위기까지 맞게 되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나는 사회부적응자가 아니다. 홀로 있으면 답답해하고 하루에 최소한 세 시간은 바깥 활동을 해야 한다. 그렇다고 마구 사교적이지는 않다. 떠들썩한 자리는 웬만하면 피하고 모임도 자주 참석하지 않는다. 아마도 대부분이 나같이 않을까? 문제는 천재들이다. 자신의 재능을 펼치지도 못하고 사회의 멸시를 받아 사라져가는. 버나뎃은 천운이었다. 그의 예술성을 알아준 남편이 있었고 그런 어머니를 믿고 따르는 딸이 존재했다. 어쩌면 우리는 소수의 천재들 덕에 조금이라도 편하게 살고 있는 게 아닐까? 그런데 왜 그들을 마구 무시하지. 아니 알아볼 생각조차 하지 않지?


사진 출처 : 네이버 블로그 bongseok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