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연과 존 조같은 한국계 배우들이 등장하여 보는 재미를 더하는 2019년 환상특급 시즌 1


트럼프 시대에 대한 야유 혹은 그리움


티브이에 나온 장면이 뇌리에 남아 문득 떠오를 때가 있다. 내게는 <환상특급>이 그렇다. 내용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충격적이었던 건 분명하다. 알고 보니 이 시리즈는 역사가 오래되었다. 1959년부터 시작되었으니 말이다. 내가 본 건 1985년 판이다. 우리나라 방송에서 최초로 방영한 것으로 안다.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2019년에 새로운 버전이 나왔다. 그 사이 영화로도 제작된 적이 있지만 제대로 보려면 역시 티브이 시리즈가 최고다, 라고 나는 생각한다. 웨이브에서 독점 상영한다는 소식을 듣고 차일피일 미루다 큰 맘 먹고 가입을 했다. 당연히 환상특급을 보기 위해서다. 시즌 1 열 개의 에피소드를 본 소감은 한 마디로 트럼프 시대에 대한 야유였다. 흑인차별, 총기문제, 이민 장벽 등 미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주제들이 직접적으로 혹은 비꼬듯이 선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이 드라마를 트럼프 집권 절정기에 봤더라면 나 또한 우우하며 한껏 비난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당연한 듯 여겨졌던 그의 재선도전은 하무하게 무너져버리고 말았다. 절대 권력에서 물러난 이의 뒷모습은 처량하기 마련이다. 역설적으로 환상특급은 트럼프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위대한 아메리카의 꿈을 간직했던 대통령으로.


덧붙이는 말


이명박, 박근혜 정권 때는 알 수 없는 답답함에 사로잡혀 지냈다. 용산탄압사태도, 사대강도, 국정교과서도, 세월호도, 국정농단도. 엄밀하게 따지면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분노했다. 역사의 퇴행을 밟는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권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았다. 전 정권들이 워낙 못했으니 기본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선무당의 칼날은 멈추지 않았다. 모두가 갈아엎어야 할 적폐였다. 문제는 불똥이 애꿎은 서민들에게 튄 것이다. 마치 부시정권이 요트에 사치세를 도입하자 부자들이 가정부들을 해고했듯이. 부동산 정책을 펼칠 때마다 집값은 미친 듯이 뛰었다. 가만 내버려두면 시장이 알아서 사고팔고 할 일에 몽둥이를 들이밀었다. 앞으로 남은 1년 6개월 남짓, 우리는 더한 진흙탕을 헤맬지도 모른다. 공수처라는 도깨비는 정권의 앞잡이가 되어 무소불위의 파워를 휘둘러댈 것이 분명하다. 목표는 오직 하나, 재집권. 국민들을 위해서라는 미명하에. 


사진 출처 : 웨이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