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세균, 유럽이 다른 대륙에 준 사악한 선물


평소 거창한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학자들의 말은 잘 포장된 구라에 가깝다, 고 확신한다. 어떤 형태든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이 녹아있지 않은 지식은 공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총균쇠>도 마차가지였다. 저자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나 아프리카가 유럽이나 북미에 뒤지는 기원을 총과 균, 그리고 쇠라는 핵심어로 분석한다. 얼마나 무모하고 어이가 없는지 기가 막힐 지경이다. 온갖 잡다한 지식을 동원하여 세 가지 핵심어 안에 우겨놓고 단죄를 한다. 바로 책을 덮는다. 내 취향은 아니야. 


그러나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가 지속되면서 다시 책을 읽었다. 구체적으로 세균 부분을 다시 보기 위해서였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서구가 다른 대륙을 정복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세균을 들고 있다. 자신들에게도 치명적이었던 세균을 상대적으로 익숙치 못한 세계에 대량으로 살포하여 정복에 나선다는 설정이다. 처음에는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소름끼친다. 방향만 바뀌었을 뿐 전파 경로는 동일하다. 박쥐로부터 전염된 바이러스가 중국내에서 퍼져 만연한 후 인근 동아시아 국가를 거쳐 미국과 유럽, 더 나아가 전 세계를 강타한다. 급격한 도시화와 항공 산업의 발달은 전파속도를 더욱 높이고 역설적으로 초기에 전염을 겪은 나라만 살아남는다. 문제는 언젠가 잠잠해 지더라도 또다시 새로운 바이러스가 변종되어 호시탐탐 기회만 노리고 있다. 그렇게 되면 단순히 미국과 중국이 아니라 온 인류가 멸망할지도 모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