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잠잠하던 코로나 19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연 3일 500명대를 넘어섰다. 참고로 오늘 기준(2020. 11. 29)으로는 450명이다. 주말이라 검사수가 준 측면이 있다. 사람의 마음이란 게 묘해서 숫자로 표시되면 경각심을 더 갖게 된다. 사실은 늘 조심해야 하는데. 안다. 말이 쉽지 그게 어디 마음대로 되나? 이럴 땐 과학자의 시선으로 사태를 보아야 한다. 곧 바이러스가 얼마나 위험한지 객관적으로 알아야 대비가 가능하다. 


월간 뉴턴 4월호에서는 ‘코로나 19 대유행’을 특집으로 다루었다. 내용은 많지 않았지만 핵심은 정확하게 다루었다. 정식명칭 코비드 19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 그룹에 속한다. 처음이 아니라는 말이다. 왕관 모양을 뜻하는 이 바리어스는 지금까지 6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4종은 사람에 의한 감염이 이루어지는 감기의 일종이며, 2종은 동물에서 사람으로 감염되었다. 사스(박쥐)와 메르스(낙타)와 그것이다. 이번 신종 바이러스도 중국 우한의 박쥐설이 유력하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사실은 사스(34,4%)나 메르스(9.6%)에 비해 치사율은 낮다. 평균 3.4%이며 한국은 약 0.9%다. 


그러나 이 두 바이러스가 치료제 없이 사라졌기 때문에 언제든 재발 우려가 크다. 다시 말해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어 퇴치한다고 해도 또다시 새로운 변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결국 지금 상황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한 일을 당연하게 하는 거다. 손을 깨끗이 씻고 사람이 붐비는 곳을 피한다. 몸 상태가 좋지 않으면 외출을 피하고 부득의하게 나가야 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껴라. 어찌 보면 단순하지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해를 넘기기까지 하면 사람들은 버티지 못한다. 적절하게 무서워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