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클래스를 다 읽었다. 드라마를 먼전 본 터라 정직하게 말해 감동은 덜했다. 다행히 원작자가 각색에 참여한 덕에 괴리감은 없었다. 이 만화에 대한 평은 따로 기회를 내서 하겠다. 오늘은 인상적인 말에 내 감상을 덧붙이겠다. 사실 이태원 클래스는 그림 보다 대화가 압권인 웹툰이다. 그대로 드라마로 옮겨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는데 역시나.


아버지를 오토바이로 치어 죽인 장근원에게 폭력을 행사한 죄로 감옥에 간 박새로이. 2년 만에 출소한 그는 통장을 보며 마음을 다 잡는다. 보험사에서 나온 사망보상금과 아빠가 살아 생전에 자신을 위해 저축한 돈을 모아보니 다 합쳐 약 2억 6천만 원. 새로이는 운동화 끈을 묶으며 이렇게 말한다.


“현재 스코어 바닥이지만 생활 자체의 부담은 없다”


나는 이 말에 주목한다. 새로이는 약 10년간 대학을 가든 생활을 하던 아주 풍족하지는 않지만 살아가는 데 지장이 없다고 생각한다. 직장을 구하지 않고도. 사실 부족한 돈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쪼개보면 한 달간 약 217만 원을 쓸 수 있다. 물론 이 돈으로 집도 구해야 하니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홀몸이라면 그럭저럭 견딜 만하다.


곰곰이 스스로를 돌이켜 보았다. 나에게는 얼마의 돈이 필요한가? 이 문제로 심각하게 머리를 싸 맨 적이 있다. 결론은 월 30만 원. 순수하게 용돈이다. 집이나 다른 기본 서비스는 제공이 된다는 전제아래. 지금은 물론 사정이 다르지만 그렇다고 그 때보다 돈을 더 많이 쓰는 건 아니다. 곧 나를 위한 돈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안감은 과거보다는 덜하다. 일단 집 문제만 해결되면 한 달 동안 생활비는 큰 이변이 없는 한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금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그 나이까지 버티면 된다. 결과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여유자금은 월 350만원씩 10년이다. 총 4억 2천만 원. 박새로이의 계산보다 1억 6천만 원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