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계획표가 필요한 까닭


학교 다닐 때 방학을 앞두고 늘 계획표를 그리곤 했다. 귀찮기도 했지만 살짝 설레는 마음도 있었다. 내게 주어진 무한한 시간이 큰 선물처럼 느껴져서다. 물론 원래대로 지킨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이후 딱히 플랜을 짜지 않더라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살아가게 되었다. 군대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그러나 직장을 그만두고 자유롭게(?) 일을 하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인간이란 나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에 강제하지 않으면 게을러지기 십상이다. 실제로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직장을 가야 할 때와 마땅히 갈 곳이 없는 건 하늘과 땅 차이다. 나름대로 규칙을 정해 일을 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힘이 들다. 게다가 코로나 19로 재택근무가 늘면서 자기 컨트롤은 큰 과제가 되었다. 


마침 뉴욕타임스에서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기사가 실렸다. 제목은 Focus your brain: Put down your phone. 대충 제목 정도만 보고 언젠가 다시 읽자고 했는데 그만. 분명히 봤는데 아무리 뒤져도 없다. 오죽하면 뉴욕타임스 홈페이지에 들어가 해당 글이 실린 날짜까지 확인해 보았다. (다행히 타이틀은 적어두었다) 그러나 국제판과 달라서인지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밀린 신문더미를 뒤졌지만 없다.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다행히 온라인에 들어가 기사를 찾아 다시 읽었다. 이 또한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어 잊어버린 아이디를 확인하느라 법석을 떨었지만. 


여하튼 별 내용은 없지만 새겨들을만한 구절이 있어 소개한다. 사람들은 일을 할 때 절반은 딴 생각에 빠져 있다. 뇌구조가 그렇다.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를 세우는 대신 계획표를 짜라. 이를 테면 아침 9시부터 10시까지는 무슨 일이 있어도 글을 쓴다. 비록 단 한 문장도 완성하지 못하더라도 의자에 앉아 버릇해라. 이런 루틴을 반복하면 몸과 마음은 점점 규칙적인 생활에 익숙해지고 결과는 자연스레 따라온다. 단 방해물은 몽땅 치워라. 괜히 노트북을 켜고 인터넷 서핑을 하거나 휴대폰을 흘끗거리면 도루아미타불이다. 모든 전원을 꺼라. 


맞는 말이다, 느슨해진 스스로를 다잡기 위해 매일 최소 20분씩 아파트먼트 계단을 오르내리기를 반복하고 있다. 10월 31일부터 시작했으니 어제(2020년 11월 19일)까지 딱 이십일 째다. 별 건 아니지만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있었는데 잘 넘긴 내가 자랑스럽다. 딱히 거창한 목적을 내세우지 않고 그냥 습관적으로 한 결과다. 사실 그게 가장 어렵지만. 


사진 출처 : https://www.nytimes.com/2020/09/26/at-home/how-to-get-focused.html?searchResultPosition=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