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유명하고 잘 알려진 작가인데 어디서 감히 어린놈이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크게 충격을 받은 소설은 <태백산맥>이다. 여름밤 식은땀을 흘리며 읽었다. 단지 감동을 받아서라기보다는 특정 내용이 당시 내가 겪었던 상황과 흡사해서다. 좋은 글은 독자들의 공감을 극대화시켜야 하는데 이 소설이 그랬다. 등장인물 한 명 한 명이 글에서 벗어나 살아서 꿈틀대며 펄떡거렸다.


조정래가 구설수에 올랐다. 자신의 발언에 비판을 가한 진중권에게 사과요구를 한 것이다. 법적 책임까지 묻겠다고 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사들을 참고하시면 된다. 가만있을 진 씨가 아니다. 기다렸다는 듯 재반격에 나섰다.


“ 진 전 교수는 이날 오후 페이스 북에 올린 글에서 “한 가지 당혹스러운 것은 자신을 ‘대선배’라 칭하고 '사회적 지위를 내세우며 ‘무례와 불경’을 말한다는 것”이라며 “자신을 신성불가침의 존재로 여기는 이 권위의식이 저를 매우 불편하게 한다”고 했다.


그는 “법에 호소하는 것은 그의 권리이니 존중해 드린다”며 “저는 이 진흙탕에 빠지지 않고, 이 문제를 역사철학에 관한 학문적 논쟁으로 승화하는 길을 택하겠다. 독일에서 있었던 ‘역사학자 논쟁’(Historikerstreit)이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했다.“


출처 : 조선일보 2020. 10. 15


절로 한숨이 나왔다. 진중권은 소설을 안 읽기로 유명하다. 꾸며낸 이야기에 흥미가 없기 때문이란다. 개인의 자유니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조정래와의 논쟁이 마치 소설가의 패배로 비쳐질까 두렵다. 그의 주장이 전적으로 옳기 때문이다. 조정래의 시비 거는 방식은 너무도 졸렬했다. 내가 이렇게 유명하고 잘 알려진 작가인데 어디서 감히 어린놈이라는 의식이 짙게 깔려 있다. 어차피 해프닝으로 끝날 일이지만 못내 씁쓸하다. 무례와 불경이라니그게 작가가 할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