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빗 - 내 안의 충동을 이겨내는 습관 설계의 법칙
웬디 우드 지음, 김윤재 옮김 / 다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내면의 충동적 본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하다. 

삶의 목표 중 대다수가 예측과 통제를 할 수 없는 강렬한 충동 때문에 방향을 잃고 좌초한다. 

그리고 그 끝에는 끔찍한 무기력이 기다리고 있다.”


군에서는 아침 6시에 일어나 밤 10시에 잠을 잔다. 겨울에는 30분 더 늦게 일어나지만 이 원칙은 변함이 없다. 물론 짬밥을 먹을수록 규칙을 살짝살짝 어기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기상시간은 변함이 없다.


지금 나는 평균 새벽 1시에서 2시 사이에 잠이 들고 아침 7시쯤 일어난다. 군 시절을 제외하고는 거의 변함없는 루틴이다. 일주일에 한번은 산에 가고(휴 다행이다) 수영장에 들르고(코로나 때문에 4개월째 수영은 못하고 있다) 댄스학원에 들른 지도(이 또한 금지되었다) 약 10년이 넘었다. 하루에 세 시간은 무조건 야외에서 산보나 조깅을 하고 밤 10시 이후에는 되도록 음식을 먹지 않는다. 글은 오전에 쓰고 책읽기는 주로 밤에 한다.


내 생각에는 꽤 바람직한 삶이다. 알차게 시간을 보내서가 아니라 습관대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곧 일어나서 무엇무엇을 해야 할지 거의 정해져있다. 다행히 이 중에 나쁜 관습은 없다. 일단 술 담배를 하지 않고 사람 많은 곳은 본능적으로 싫어하고 도시보다는 전원을 사랑한다.


<해빗>은 뻔하면서 놀라운 책이다. 별 것 아닌 취급을 받은 습관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뭔가 거창한 말을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을 본다. 정치인들이 대표적이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의심을 한다. 과연 저 사람은 자신의 말대로 살고 있을까? 강남에 아파트먼트를 가지고 있으면서 부동산 약자를 위한다며 가짜 정책을 펼치고 젊고 늘씬한 여비서와 놀아나며 페미니즘의 대변자가 되고 책이라고는 한 권도 읽지 않으면서 서재를 자랑하지는 않는가? 웬디 우드는 그게 정상이라고 한다. 곧 인간은 그만큼 나약하다는 말이다. 의지보다 환경이 중요하다.


지난주(2020년 7월 9일)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를 보다 깨달은 게 있다. 이케아의 수석디자이너가 등장했는데 그가 쓰는 책상은 일반 직원들과 다르지 않았고 같은 장소에 있었다. 만약 서울시장이 따로 거대한 집무실을 두지 않고 다른 사람과 똑같은 공간에서 업무를 했다면 어땠을까? 여자에게 눈이 돌아갈 수는 있었어도 나쁜 짓은 하지 못했을 것이다. 남들의 눈이 있기에. 물론 따로 불러내는 건 못 말리겠지만.


이 책은 의지력이란 얼마나 허망하며 충동이란 말 그대로 얼마나 충동적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이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좋은 습관을 단단히 뿌리내려야 하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이 무의식적인 습관이다. 곧 눈을 부릅뜨고 실천해야지 하고 다짐하는 대신 자연스레 몸에 익도록 해야 한다. 말이야 쉽지 그게 가능하냐고 반문하는 사람들께는 천천히 정독한 후 다시 물어보시라고 말하고 싶다. 그러면 아실 것이다. 자신이 문제가 아니라 나를 둘러싼 환경이 조작되었다는 걸. 여러분에게는 아무 잘못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