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정은 아무에게나 붙이는 수식어가 아니지요?_배철수 


자신의 최전성기가 언제였냐고 물어본다면 답은 제각각일 것이다. 그럼에도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젊었을 때라고 하지 않을까? 물론 청춘에 도달하지 못한 연령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겠지만. 그들에게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미래라는 보석 상자를 열지 않았을 테니까. 


미국의 한 요양원에서 실험을 했다. 노인들의 젊은 시절에 맞추어 시설이며 환경을 모두 바꾸었다. 이를 테면 티브이에서는 60년대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틀고 라디오는 당시 유행하던 취향의 음악채널로 고정하고 취미생활도 예전 즐길 거리로 바꾸었다. 결과는 놀라웠다. 노화속도가 둔화된 것이다. 뇌의 착각일 수도 있겠지만 젊음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산임을 증명한 셈이다.


유튜브를 보다 우연히 90년대 음악 영상이 떠서 들어가 보았다. 딱히 그 시대를 즐긴 건 아니기에 기억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보는 내내 입가에서는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분명히 지금 기준으로 보면 촌스러운데 내 마음은 이미 그 시절로 가는 특급 추억열차를 타고 있었기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특히 내 눈길을 끈 가수는 하수빈이다. 티브이로 그를 보았는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름 정도는 알고 있다. 노래도 '노노노노노'는 뇌리에 남아 있다. 그런데 다시 보니 놀라웠다. 일단 외모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세상 사람 같았다. 이른바 엘프녀다. 노래도 프로가수 정도는 아니지만 들어줄만 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는 안티 여성 팬들의 등쌀 때문에 곤욕을 치렀다. 자신들이 좋아하는 남자가수와 친해지면 안 된다는 팬심이 작용한 탓이다. 만약 이런 사정 때문에 가수를 그만두었다면 안타깝다. 어차피 인기란 거품 같아서 시간이 지나면 잊히게 마련이지만 하수빈은 그런 망각을 갖기에도 너무 짧게 활동했다. 2010년쯤 잠깐 팬 미팅 차원에서 잠시 복귀하고 다시 소식이 뜸하다.


여하튼 돌이켜보면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중반까지 한국은 최전성기였다. 3저(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호황과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자신감, 거기에 형식적이나마 민주화를 이루어냄으로써 국민들의 자신감이 하늘을 찔렀다. 주머니가 두둑해지고 여유가 생기면 너그러워지게 마련이라, 청년 문화가 곳곳에서 솟구쳐 나와 주류를 담당했다. 대중음악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과거 같으면 상상도 못했던 고등학생 가수나 염색머리의 아이돌이 공중파 티브이를 사로잡았다. 그 중에는 청순경쟁을 펼쳤던 강수지, 이지연, 하수빈도 있다. 그 때만 해도 하수빈은 후발주자에 살짝 일본 시티팝의 짝퉁느낌도 있었는데, 현 시점에서 보면 실력을 떠나 이미지로만 보면 하수빈이 최고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