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날이 있다. 뭔가 지금까지 살아온 삶과 살짝 틀어진 것 같은. 이번 주 수요일 내가 그랬다. 현관문을 열고 거리로 나가자마자 알았다. 입 주변이 허전함을. 마스크를 끼지 않았다. 이럴 수가? 할 수 없지. 손으로 입을 가리고 약국에 들러 마스크를 샀다. 일주일에 한차례 마치 예배를 보듯 하는 일상이었다. 그런데 포장지를 보니 왠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예상이 맞았다. 작고 좁다. 낀 것은 할 수 없고 나머지 두개는 환불을 해야지. 카드와 영수증을 내고 돌아서 지하철역까지 왔는데 뭔가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 뭐라고 딱 꼬집어 말하기는 그렇지만. 혹시 하는 마음에 지갑을 열어 영수증을 보니 아뿔싸 지불한 카드와 환불한 카드가 달랐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거지? 재난지원금을 전용으로 쓰기 위해 따로 카드를 사용하는 바람에 생긴 일이었다. 곧 마스크는 지원금 카드로 사고 환불은 일반 카드로 한 것이다. 안 쓰던 카드를 쓰다 보니 생긴 실수다.
다시 발길을 돌려 자초지종을 설명하는데 벌써 진이 다 빠진 느낌이 들었다. 어찌어찌 해결 아닌 해결을 하고 걸어 나오면서 이런 날은 일 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걸까? 평소의 루틴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이 주일에 한 번씩 들르는 곳이 있다. 이곳에 갈 때는 옷차림이나 외모에 신경을 쓴다. 가방도 다른 것을 들고 간다. 알게 모르게 긴장을 하게 되는데, 그날도 그랬다. 이런 저런 작은 실수가 자잘하게 이어졌다.
우연히 유튜브 채널에서 기아 타이거즈의 전 투수 윤석민씨가 하는 말을 들었다. 팀의 에이스로 발돋움했던 그는 그 활약으로 2008 베이징 올림픽 대표 팀으로도 선발되었다. 팀에서는 선발이었지만 대표 팀에서는 중간계투로 뛰게 되었다. 문제는 여기서 터졌다. 4일이나 5일에 한 번씩 오르는 습관과 경기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투입되는 건 하늘과 땅차이다. 경기결과는 좋았지만 이때의 일이 그의 미래를 가로막았다. 알게 모르게 몸에 배린 루틴이 깨져버린 것이다. 그는 중간에 던지게 되면 유니폼이 꽉 조이는 느낌을 받았다고 이야기한다. 미묘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운명을 바꾼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