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어 문화 수업 - 플로리다 아 선생의 미국 영어 문화 수업
김아영 지음 / 사람in / 201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영어는 언제나 중요했다. 중학교 들어가자마자 정규 과목으로 배운다. 대학에 가도 일반 교양과목에 영어는 빠지지 않는다. 최근에는 초등학교에서도 영어를 가르친다. 심지어 미취학 이동에게도 영어를 접하게 한다. 문제는 이러한 과도한 관심이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거다. 


도대체 문제가 무엇인가? 영어를 학문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일상에서 주고받는 언어라는 사실을 까먹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한가? 자주 접하는 게 최고다.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해당 나라에 가서 부딪쳐 보는 게 최고다. 그러나 누구나 그러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지금은 코로나 19 시국이다. 간접적으로나마 영어의 분위기를 익히는 수밖에 없다.


<미국 영어 문화 수업>은 저자가 영어를 가르치면서 겪은 소회를 적은 책이다. 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영어의 보이지 않는 이면을 잘 드러낸다. 이를 테면 Don't take it personally!이 그렇다. 지적을 당하거나 싫은 소리를 들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재미있는 건 영어권 사람들은 섣부른 위로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내가 말한 건 사적인 감정이 아니라 맡은 역할을 할 뿐이라는 식이다. 어찌 보면 냉정하고 야속해보이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맞는 말이다. 공과 사는 엄연히 구분해야 마땅하다.


세상을 살면서도 비슷한 일을 많이 겪는다. 뭔가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우리는 원인을 찾아 나서 화풀이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어떻게든 감정을 드러낸다. 반면 영어권 시민들은 같은 상황에서도 드러내기를 극도로 꺼린다. 부정적인 표현을 되도록 회피하는 문화 탓이다. 무엇이 옳고 그르냐가 아니라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면 당황하게 된다는 뜻이다. 실제로 영어를 쓰면서도 비슷한 경험을 할 때가 많다. 영어는 직설적이면서 동시에 완곡하다, 는 느낌을 자주 받는다. 얼핏 스트레이트하게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매우 정제된 표현으로 돌려 말하는 문화가 있다. 물론 교육수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다. 이 책은 영어를 배우는 초급자는 물론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