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덤> 시즌 1의 가장 충격적인 장면은 바로 이것이다. 복합적인 의미가 담겨있다. 


마치 예언이라도 했다는 듯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즌 원을 몰아봤다. 정확하게 말하면 1편은 이미 보았는데 제대로 정주행하자는 생각에 처음부터 다시 시청했다. 처음엔 다소 부담스럽지 않을까 싶었는데 실제로는 순식간이었다. 그만큼 몰입도가 높았다. 줄거리는 의의로 간단하다. 선왕이 위중한 병으로 드러눕자 저하는 왕위를 물려받을 준비를 한다. 그러나 젊은 왕비가 임신을 한 상태다. 후궁의 자식이라는 약점이 발목을 잡는다. 왕비의 아비인 조씨는 어떻게 해서든 왕의 죽음을 미루는데 그 방법은 놀랍게도 좀비로 만드는 것이다.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티던 어느 날 동래에서는 역병이 돌고 서자는 그 병을 막기 위해 사력을 다하게 되는데. 물론 중간 중간 복잡한 서사가 녹여져 있지만 핵심은 왕위를 둘러싼 저하와 왕비 세력 간의 다툼이다. 


흥미로운 건 다른 사극과 달리 좀비들이 맹활약한다. 마치 자신들이 주인공인 것처럼. 속사정을 알고 보니 스턴트 지도를 제대로 받았다. 구체적으로 좀비액션을 새롭게 구성하여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흔히 좀비하면 느릿느릿 거리며 흐느적대던 이미지가 우사인 볼트로 백팔십도 바뀐 것이다. 게다가 집단씬이 자주 등장하면서 긴장감을 자아낸다. 한 가지 흠이라면 연기다. 물론 주요 배역을 맡은 배우들은 제몫을 해주고 있는데 우리에게 낯선 연기자들은 극과 따로 노는 느낌이 강했다. 특히 왕비 역을 맡은 김혜준은 대사 전달조차 잘 되지 않는다. 일부로 그랬다는 설도 있는데 글쎄 아직 시즌 2를 보지 않아서. 


여하튼 좀비도 좀비지만 킹덤이 새삼 각광을 받게 된 이유는 누가 뭐래도 코로나 19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창궐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사투가 현 사태와 너무도 닮았기 때문이다. 최초에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 유럽이나 미국마저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킹덤은 더욱 화제를 끌고 있다. 마치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을 예언이라도 했다는 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