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인 수고나 돈에 비해 이익이 더 커야
삶은 비숫해보이지만 조금씩 다른 상황들에 맞닥뜨리기 일쑤다.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암담할 때도 있다. 이럴 경우 필요한 게 원칙이다. 비용편익도 그 하나다. 말 그대로 들인 수고나 돈에 비해 이익이 더 커야만 한다. 곧 급한 마음에 당장 뭘해야할지 몰라 당황하기보다는 최대한 침착하게 머리를 써서 비용 대비 편익분석을 해보시라. 서둘러서 잘되는 일은 거의 없으니까.
예를 들어보자. 현관문 도어 클로저가 고장 났다. 문을 잘못 닫았는지 한쪽이 기울어져 문이 온전히 열리지 않는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제품과 수리비용을 합쳐 약 20만 원 가량 든다고 한다. 큰돈이다. 이 집은 성한 곳이 하나도 없군, 하며 한숨을 쉬어 봐야 소용이 없다. 일단 문제를 다시 한 번 꼼꼼히 살펴보자. 원인을 알아야 해결도 가능한 법이니까. 급한 대로 내려앉으면서 마저 뽑히지 않는 나사못을 힘겹게 처리하고 임시로 테이프로 봉했다. 한두 번은 열리더니 도로 기울어지면서 똑같은 현상이 반복됐다. 아무래도 수리를 해야 할 모양이다, 라고 체념을 하려다 관리실에 연락을 했다. 엘리베이터나 배관처럼 고용시설에 주로 쓰이지만 현관문도 해당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관리비 중에는 아파트 장기수선 충당금이라는 게 있다. 이것저것 망가진 부분을 고치기 위해 입주민들이 내는 돈이다. 원래는 집주인이 내야 하지만 세입지가 들어올 경우 관리비에 포함되어 납부한다. 따라서 이사할 때는 반드시 환불받아야 한다. 살면서 집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에도 수선충당금을 쓸 수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결국 관리실에서 사람이 왔다. 크게 수리해야 한다면 할 수 없지만 충분히 고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나사만 교체하고 지렛대에 해당되는 부분은 조이는 것으로 해결이 되었다. 만약 뜻밖의 상황에 당황하여 당장 몽땅 수리해야 한다고 서둘렀다면 큰 손해를 볼 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