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1 - 조선과 일본의 7년전쟁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1
이이화 지음 / 한길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연달아 부고 소식을 접하는 마음은 착잡하다. 빨강머리 앤을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한 신지식 선생에 이어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이 오늘 84세의 나이로 영면했다. 대구에서 열일곱 살 먹은 학생이 바이러스로 사망한 뉴스까지 들어 더욱 울적하다. 


이이화 선생은 예전에 강연에서 뵌 적이 있다. 특유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좌중을 압도하는 모습이 생생하다. 한 가지 흥미로운 건 그가 꽤 유머스러우며 재미있는 이야기를 잘 하셨다는 거다. 오늘날로 치면 설민석 같았다고나 할까?


그는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우리 역사기록의 대부분이 한자이니 아무래도 유리한 처지였다. 그러나 한문 좀 안다고 유세떠는 학자들이 꼴 보기 싫어 혼자만의 길을 걸었다. 이른바 민중역사다. 사실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이들의 기록은 매우 제한적인 자신들의 이야기일게 뻔하다. 백성은 들러리 정도다. 실제로 민중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글로는 확인인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상상력이다. 글을 토대로 그 당시의 상황을 떠올리고 그 가운데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과감하게 추론해야 한다. 이른바 역사는 끊임없는 대화라는 사실을 몸소 실천해야 한다.


이이화 선생의 업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가 최고가 아닌가 싶다. 학자가 아닌 대중을 상대로 한 본격적인 통사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 특히 임진왜란을 기술한 부분은 역사서로도 충실하지만 이야깃감으로도 박진감이 넘쳐 서너 번 넘게 읽은 기억이 있다. 


아무쪼록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수상한 시절에 생을 마쳐 그를 기리는 분위기가 조성이 되지 않은 것이 안타깝지만 언제고 그의 작업은 다시 빛을 발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