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연인들 : 한국인이 뽑은 오페라 로망스 베스트
Various Artists 작곡 / MFK(뮤직팩토리코리아)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뭘 좋아하는데 순서는 없지만 그래도 알면 알수록 더 사랑하게 되는 건 맞다. 클래시컬 음악도 마찬가지다. 출발은 역시 모차르트다. 아무리 고전음악을 모른다고 해도 볼프강의 멜로디 하나쯤은 들었기 때문이다. 가벼움(?)에 살짝 질린다면 베토벤으로 갈아탄다. 앞뒤좌우 볼 것 없이 강력하게 직진하는 매력은 한번 맛보면 빠져나오기 힘들다. 그러나 한계효용법칙에 따라 또 다른 무언가를 찾게 되는데 걱정하지 마시라. 작곡가는 무궁무진하니까. 그렇게 말러와 쇼스타코비치, 더 나아가 필립 글라스까지 섭렵하고 나면 어느새 머리카락에는 눈이 소복하게 내려앉는다. 그 때쯤 다시 찾게 되는 사람이 모차르트다. 초심으로 돌아오는 거다. 


오페라는 우리에게 낯설다. 우선 가사를 모른다. 이태리어 전공자가 아닌 다음에야 이해가 어렵다. 아무리 사전에 내용을 알고 듣더라도 감동에 이르기까지는 머나먼 벽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팝송을 꼭 가사를 알아야만 즐기는 게 아닌 것처럼 오페라도 극 전체의 전개나 가사를 몰라도 충분히 재미있게 들을 수 있다. 컬플리에이션 앨범부터 시작하면 된다. 일종의 짜집기 종합선물세트다. 평론가 중에는 이런 음반을 극도로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 나도 한 때는 그랬다. 들을 거면 제대로 들어야지 무슨 후크송도 아니고. 지금은 다르다. 음악은 이런 저런 잣대를 들며 먹이는 사료가 아니다. 듣고 행복하면 그만이다. 


<오페라의 연인들>은 초심자는 물론 어느 정도 아는 분들에게도 권할 만하다. 익숙한 노래들을 뽑았지만 부르는 가수들이 숨은 대가들이기 때문이다. 흔히 오페라하면 떠오르는 파바로티나 슈와르츠코프는 없다. 대신 토마스 하퍼나 안나 마리아 마르티네즈처럼 이름은 덜 알려져 있지만 실력은 출중한 성악가들이 대거 포진해있다. 개인적으로는 푸치니 작곡 <잔니 스키키> 중 '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를 부른 안나 마리아 마르티네즈가 가장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