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 오랜만 오랜만이어요!
새 직장에 적응하느라고 갈피를 못 잡고 있어요.
[우리말 도사리]랑 [속담사전] 한 장씩 읽는 것도 뜻대로 안 되네요.
한 장씩이라기보다
[우리말 도사리]는 한 꼭지(소제목 아래 이어진 글 한 편, 보통 1~2쪽에 걸치는 분량)씩 읽고,
[속담사전]은 한 쪽(한 면)씩 읽는데도 그래요.
출근하자마자 집중해서 한 20~30분 읽으면 될 텐데 말이지요.
내일부터는 꼭 그렇게 하리라 다짐!



이건 1월 4일에 찍어놓은 속담사전 6쪽이에요. 으아~ 열흘도 넘었다...

가만바람이 대목을 꺾고 모기다리 쇠X한다.

"쇠X"가 도대체 뭘까요? 속담을 그대로 옮기면서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X로 표기하다니...
웃음이 납니다. 이래서야 제대로 속담을 전달한다고 볼 수 없잖아요.
1962년에 나온 초판은 어땠는지 모르지만,
1980년 10월에 개정판이 나온 걸 생각하면...
이때는 출판 검열이 이루어졌잖아요. 혹시 그 때문일까요? 쯧...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제대로 나올까 싶어 검색해봤는데, 이렇게 나옵니다.


가만바람
「명」『북』약하게 소리 없이 부는 바람.

  
가만바람이 대목을 꺾고 모기 소리에 소가 놀란다

『북』'가만한 바람이 대목을 꺾는다'의 북한 속담.

  가만바람이 대목을 꺾는다

『북』 '가만한 바람이 대목을 꺾는다'의 북한 속담.



북조선 지방의 속담이네요.
"모기다리 쇠X한다"가 "모기 소리에 소가 놀란다"로 바뀌었는데요.
"쇠"는 쇠고기 할 때처럼 "소가" "소의"란 말의 준말이고,
X는 뭘까요? 도대체 무슨 말이기에 바로 쓰지 못하고 X 표시로 숨겼을까요?

어쨌거나 가만 가만 부는 바람, 가만바람이라. 기억해두고 싶은 낱말이에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릿광대 2006-01-15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는 참 아름다운 말이 많은 것 같아요...소슬바람, 새털구름, 여우비등...좋은 우리말을 많이 사용하면 좋겠어요^^

물만두 2006-01-15 2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거이 궁금하네. 엑쑤파일도 아니고~

깍두기 2006-01-15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엄청 궁금하다. 몰까몰까????

숨은아이 2006-01-15 2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릿광대님/예, 실생활에서 자주 씁시다~
만두 언니/그렇지요 그렇지요. 아, 궁금해.
깍두기님/이거 알아맞히기 이벤트라도 열까요? ^^

mong 2006-01-15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만바람...저도 기억해 둘께요~
내일부터 결심 변치 마세요 ^^

숨은아이 2006-01-15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몽님, 고마워요. 내일부터 꼬옥~ ^^

숨은아이 2006-01-16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뭔가 욕 비슷한 비속어 아닐까 싶긴 한데... ^^a

조선인 2006-01-16 0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알려주세요!!!

숨은아이 2006-01-16 1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새벽별님 고맙습니다. 저 대신 대답해주신 조선인님도... 아하하, 그 말이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