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회장 : 김재철)는 무역업계의 관심사항을 중심으로 『2005년 주목해야할 10대 대외통상 환경』을 다음과 같이 선정, 발표했음.

   1. WTO도하개발어젠다(DDA)의 실질적인 협상 전개 여부
   2. WTO 출범 10주년과 후임 사무총장 인선 등 위상 강화 노력
   3. 제13차 APEC 정상회의와 한국의 역할
   4. 전 세계적인 자유무역협정(FTA)의 확대
   5. 미국 : 마찰 분야(자동차, 철강   IT·지재권분야)의 변화 전망
   6. E U : 동진(東進) 노력과 환경규제 강화
   7. 중국 : 중국내 산업재산권 보호, 섬유쿼터 폐지 이후 시장경합
   8. 일본 : 김 분쟁과 다자협상에서의 공조노력 지속 여부
   9. 남북경협(개성공단) 확대와 주요국(미국)의 원산지관련 조치
  10. 섬유쿼터 폐지와 세계 섬유교역시장의 재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해 북한의 3대 교역국중 제1위인 중국과의 무역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2,3위인 한국, 일본의 경우 각각 감소해  북한의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발표한 '북한-중국간 무역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중국간 무역은 13억8,521억달러로 전년 대비 35.4% 증가했다.

  이중 북한의 대중 수출은 수산물 및 철광석, 무연탄 수출확대 및 기초원자재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철광석, 무연탄 수출단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48.1% 증가한 5억8,570만달러를, 수입은 돼지고기, 원유 등의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전년 대비 27.4% 증가한 7억9,995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에 비해 북한 제2위 무역국인 한국의 경우 지난해 북한과의 무역은 총 6억9,704만달러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고, 일본의 경우도 2억5,187만달러로 4.8% 줄어들었다.

  중국 북한간의 교역환경은 지리적 인접성, 중국의 저가 공산품 공급능력 확대, 정치유대 강화 등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했던데 비해 한국은 대북반입 쿼터물량 축소(북어: 4,700톤 2,000톤), 경기침체 등으로 북한에서 수산물, 임가공의류 등의 반입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북한의 일본인 납치사건이 불거진 이후 북한에 대한 이미지 실추와 반감 고조 등으로 일본소비자의 북한상품 외면,
최근 대북한 무역거래에 대한 각종 제한 조치 강화 등이 북-일무역 감소의 주요한 원인이다.

  무역협회는 북한의 개방정책 시행과 함께 중국의 단동 및 두만강지역 개발, 동북3성 산업시설 개조를 위한 북한과의 경제협력 강화의지에 힘입어 앞으로 북·중간 무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중국, 한국, 일본  등 북한 3대 무역국의 대북한 무역액은 03년을 기준으로 20억1,200만달러로 북한 전체 대외무역액 31억1,500만달러의 64.5%를 차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n reponse to the efforts, early in 1968, of the Czechoslovakian Communist Party, under the leadership of Alexander Dubcek, to introduce a number of reforms, including the abolition of censorship, the Soviet Union adopted a policy of combating "anti-socialist forces". The polict became known as "Brezhnev Doctrine".

Dubcek's movement, known as the "Prague Spring," was suppressed in an invasion. It was in November 1968, speaking before Polish workers, that Soviet leader Leonid Brezhnev gave the following justif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events in Czechoslovakia the question of the correlation and interdependence of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socialist countries and their international duties acquire particular topical and acute importance.

The measures taken by the Soviet Union, jointly with other socialist countrieS, in defending the socialist gains of the Czechoslovak people are of great significance for strengthening the socialist community, which is the main achievement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class.

We cannot ignore the assertions, held in some places, that the actions of the five socialist countries run counter to the Marxist­Leninist principle of sovereignty and the rights of nations to self­determination.

The groundlessness of such reasoning consists primarily in that it is based on an abstract, nonclass approach to the question of sovereignty and the rights of nations to self­determination.

The peoples of the socialist countries and Communist parties certainly do have and should have freedom for determining the ways of advance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However, none of their decisions should damage either socialism in their country or the fundamental interests of other socialist countries, and the whole working class movement, which is working for socialism.

This means that each Communist party is responsible not only to its own people, but also to all the socialist countries, to the entire Communist movement. Whoever forget this, in stressing only the independence of the Communist party, becomes one­sided. He deviates from his international duty.

Marxist dialectics are opposed to one­sidedness. They demand that each phenomenon be examined concretely, in general connection with other phenomena, with other processes.

Just as, in Lenin's words, a man living in a society cannot be free from the society, one or another socialist state, staying in a system of other states composing the socialist community, cannot be free from the common interests of that community.

The sovereignty of each socialist country cannot be opposed to the interests of the world of socialism, of the world revolutionary movement. Lenin demanded that all Communists fight against small­nation narrow­mindedness, seclusion and isolation, consider the whole and the general, subordinate the particular to the general interest.

The socialist states respect the democratic norms of international law. They have proved this more than once in practice, by coming out resolutely against the attempts of imperialism to violate the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of nations.

It is from these same positions that they reject the leftist, adventurist conception of "exporting revolution," of "bringing happiness" to other peoples.

However, from a Marxist point of view, the norms of law, including the norms of mutual relations of the socialist countries, cannot be interpreted narrowly, formally, and in isolation from the general context of class struggle in the modern world. The socialist countries resolutely come out against the exporting and importing of counterrevolution

Each Communist party is free to apply the basic principles of Marxism Leninism and of socialism in its country, but it cannot depart from these principles (assuming, naturally, that it remains a Communist party).

Concretely, this means, first of all, that, in its activity, each Communist party cannot but take into account such a decisive fact of our time as the struggle between two opposing social systems-capitalism and socialism.

This is an objective struggle, a fact not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people, and stipulated by the world's being split into two opposite social systems. Lenin said: "Each man must choose between joining our side or the other side. Any attempt to avoid taking sides in this issue must end in fiasco."

It has got to be emphasized that when a socialist country seems to adopt a "non­affiliated" stand, it retains its national independence, in effect, precisely because of the might of the socialist community, and above all the Soviet Union as a central force, which also includes the might of its armed forces. The weakening of any of the links in the world system of socialism directly affects all the socialist countries, which cannot look indifferently upon this.

The antisocialist elements in Czechoslovakia actually covered up the demand for so­called neutrality and Czechoslovakia's withdrawal from the socialist community with talking about the right of nations to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such "self­determination," in other words, Czechoslovakia's detachment from the socialist community, would have come into conflict with its own vital interests and would have been detrimental to the other socialist states.

Such "self­determination," as a result of which NATO troops would have been able to come up to the Soviet border, while the community of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would have been split, in effect encroaches upon the vital interests of the peoples of these countries and conflicts, as the very root of it, with the right of these people to socialist self­determination.

Discharging their internationalist duty toward the fraternal peoples of Czechoslovakia and defending their own socialist gains, the U.S.S.R. and the other socialist states had to act decisively and they did act against the antisocialist forces in Czechoslovakia.

From Pravda, September 25, 1968; translated by Novosti, Soviet press agency. Reprinted in L. S. Stavrianos, TheEpic of Ma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1), pp. 465­4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제와 호랑이와 물고기들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5
다나베 세이코 지음, 양억관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조제와 호랑이와 물고기들>은 단편집이다. 근데 하나같이 이 단편들의 주인공은 자신감 넘치는 여자다. 아무리 괴롭고 힘든일이 닥쳐도 쿨하게 정말 멋지게 살아간다. 그중 가장 동경하는 사람이 바로 <눈이 내릴 때까지>의 주인공  이와코. 나이가 마흔이 넘었지만 만족스러운 직업도 있고, 돈도 좀 있고, 인생에서 원하는 것이 무언지 확실히 알고 있으며, 결혼에 얽매이지 않는다. 다만 하나같이 여주인공의 관계는 불륜이거나 그와 비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들을 비난할수 없는 것은 내 자신안에 존재하는 이중성 때문이 아닐까?

 

이책을 읽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영화 <조제와 호랑이와 물고기들>을 보고 나서다. 같은 소재를 사용했지만 영화는 책을 완벽하게 재구성했다. 그 주인공들의 성격, 관계, 의도 등을 그대로 살리고, 영화, 책 모두 보기 드문 걸작이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니 영화가 십분 더 잘 공감이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한의 기아 - 기아 정치 그리고 외교정책
나초스 지음, 황재옥 옮김 / 다할미디어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본으로을 읽었었다.  <THe Great North Korean Famine>

식량안보에 관심이 있어서 선택하게 된 책이었다. 여태까지 막연하게만 알고 이었떤 북한의 식량사정과 기아와 외교의 관계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제시해줬다.

우선 기아의 정의와 기아의 정치학과 외교관계 등을 여러 사료를 통해 심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무엇보다 식량원조 이후의 북한 전후상황이 탈북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대북원조를 외교협상에서 '당근'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나 인권과 외교를 결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 필자와 공감하게 되었다. 단직적으로 봤을때는 대북원조가 북한의 군사를 먹여살리고 체제유지에 기여한것 같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북한사회에 바깥세상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조금이나마 바로잡고 또 50년동안 적으로 알고있던 일본, 한국, 미국이 제일 많이 원조를 한 사실을 알게 되어 진정한 적이 누구인지 되새김질할 기회가 되었다.

레이건 대통령이 말했듯이 'a hungry child knows no politic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