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배의 탄생 - 어르신과 꼰대 사이, 가난한 남성성의 시원을 찾아서 이매진의 시선 2
최현숙 지음 / 이매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번째 인터뷰를 읽으면서 아버지가 많이 생각났다. 나이가 비슷하고 아버지도 어렸을때 전쟁으로 친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새어머니 손에서 자랐다. 그리고 장남이라 큰집에 맡겨져서 살았다. 다행인것은 아버지는 공부를 잘해서 소위 중산층으로 살 수 있었다. 하지만 가족으로부터 상처가 왜 없었겠는가? 이영식 할아버지의 정체성은 5살때부터 형성되었고 그때 상처받은 모습이 일흔이 넘어서도 치유가 안되었다.  오히려 국가에서 해야될것은 단순히 사회복지 서비스가 아니라 심리정서 지원 같은 프로그램을 더 확대해야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을 통해 독거노인 생활관리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고령화 사회에서 이와 같은 지원들은 더 늘어나야 할 것이다. 


김용술 할아버지와 이영식 할아버지의 자존감의 차이는 어쩜 외모의 차이도 큰 역할을 한것 같다. 만약 이영식 할아버지가 좀더 덩치가 있고 힘이 셌다면? 두분다 공부를 더 못한 것을 후회하는 것도 의외였다. 한명은 가정형편때문에 만학도로 초등학교에 들어가 창피해서 중학교를 안가고 다른 한 명은 공부에 흥미가 없어서 그만뒀다. 하지만 둘다 젊었을때 외국어 공부를 시도한 것도 놀라웠다. 누구나 배움에 대한 열망은 있지만 어려서 학습의 기회가 없다면 그만큼 이해도나 습득능력이 나이들어서 떨어지는건 사실이다. 다행히 지금은 의무교육이라 99%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니 이젠 교육의 질에 대해서 고민할 때이다. 그리고 사회현안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는 것도 충격이었다. 물론 사건들 이면의 매커니즘은 모르더라도 뉴스나 신문 등에 관심이 있었다. 


못배우고 가난하기 때문에 저항이나 사회 참여가 제약되는 건 맞다. 여유가 있어야 참여도 가능한 것이다. 


개인 한명한명 스토리가 참 많다. 구술작가 수업을 들어서 내년에는 어머니를 꼭 인터뷰해보고 싶다.  




 가난한 사람의 일상은 더 생태적이며 더 반자본적이다. 사회적 지위와 문화적 권력이 없는 사람은 해를 덜 끼칠 가능성이 높다. 빈곤한 사람들이 보이는 자존감 결핌, 무절제, 방종, 중독 등은 빈곤의 원인이 아니라 빈곤의 결과다. 성일을 배울 수 있는 성장과정을 거치면 아니 성실해도 미래가 희망적이지 않다. 부자들이 성실하고 근면하면 사람들은 감탄한다. 그렇지만 그 부자가 만들 사회적 결과들은 사회에 해를 끼칠 때도 있다. 그렇지만 게으르고 무능력한 쪽이 사회에 해가 덜 된다. 

쥐잡기 운동 (1960-70) : 곡물 손실을 막기 위해 ‘ 인간 고양이 부대‘ 쥐가죽 모피 회사
쥐에게는 가족계획이 없다
우리는 간첩을 색출하는 정신으로 쥐를 찾아내 그것을 박멸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