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 단군에서 김두한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책을 많이 구해볼 수 있는 시대다. 연구활동도 활발하고 예전에 국가의 헤게모니에 도전한다는 이유로 출판하지 못할 책들이 별 무리 없이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한민국사'를 읽으면서 떠오른 단상 몇가지를 간략히 적어보고자 한다.

이 책의 서문에서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기준과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라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한 사건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누구의 입장에서 듣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의 이야기가 나오기 ‹š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나만의 확고한 관점을 수립하고 엄격함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언제쯤 나만의 신념을 가질 수 있을지...

첫째, 우리 사회의 최대 격동기- 바로 해방 직후와 6.25전쟁 종전까지의 시기가 아니었나 싶다. 이 시기 이승만 대통령의 역할과 행동에 대한 엇갈린 평가들이 공존하는 것 같다. 미국의 입장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그가 원하는 조건들- 한국군 증강, 미국의 군사경제적 원조 등-을 이루어낸 반면 북진통일, 장기 집권등을 통해 더 큰 화를 자초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둘째, 지금까지 금기시 되어온 반미 문제도 최근들어 공공연히 시민운동을 통해 민간인 학살, 및 소파의 불평등성에 대한 불만을 토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민간인 학살 문제와 관련해서는 더 이상의 피해자들이 나오지 않도록 각별히 시민단체와 정부에서 나서야 할 때인것 같다. 그와 더불어 더 많은 연구와 통합특별법안 추진 등의 노력에 박차를 가할 때이다.

셋째, 병역제도의 개선을 이루어질 때가 아닌가 싶다. 모병제로 전환하기 어려운 상황이니 만큼 복무기간 및 월급의 개선이라도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복무기간을 기존의 26개월에서 14개월로 줄이고 월급도 올려주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