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가게 둘째딸 마거릿 대처 - 영국의 前 수상
고승제 지음 / 아침나라(둥지) / 1994년 10월
평점 :
품절


1. 신보수 - 대처리즘

'철의 여인'으로 명성을 떨친 마가렛 대처는 그녀만의 정치 신념으로 3번의 임기를 보냈다. 어릴적 아버지의 영향으로 근면, 성실과 능력주의에 대한 강한 신념을 물려받았다. '영국병'으로 인해 높은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으로 고충을 면하지 못한 조국을 위해 극약처방으로 다스릴 수 있었던건 대처만의 힘이라 할 수 있다. 1년 동안 철강파업일 딛고 대처의 승리로 영국의 고질적인 복지병으로 부터  탈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2. 포크랜드 전쟁

전쟁을 통해 대처는 기회를 맞이한다. 포크랜드는 아르헨티나와 영토분쟁으로 100여명의 사상자를 나았다. 하지만 대처의 애국주의와 강경한 입장으로 결국 영국이 승리를 이룰 수 있었고 나아가 대처가 수상으로 취임하기 위한 좋은 발판을 마련하였다.

 

3. 강한 리더의 표본

80년대 대처와 같은 보수주의 노선을 걷던 레이건과 비교할 수 있다. 대처가 영국에서 성공을 거둔 반면 레이건은 정치적으로 승리했다고 볼 수 있으나 경제적으로 세계최고의 채무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대처는 이렇듯 경제정책에 있어서는 빅토리아 시대의 정신을 무장해 중산층에게 확고한 청사진을  제시해줌으로써 경제슬럼프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